본문 바로가기
2007.11.04 16:44

야단벼락/혼벼락

조회 수 816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야단벼락/혼벼락


‘벼락’이란 자연현상 말고도 심한 꾸지람이나 나무람을 비유적으로 일컫거나 매우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을 비유하기도 한다. 이런 뜻의 ‘벼락’은 다른 말과 어울려 새말을 만들기도 하는데, ‘감벼락, 날벼락(생벼락), 돈벼락, 돌벼락, 마른벼락, 물벼락, 불벼락, 산벼락(호되게 당하는 재난을 이르는 말), 앉은벼락, 칼벼락’ 등이 그것이다. 여러 벼락 가운데 아직 사전에 오르지 않은 말로 ‘야단벼락’과 ‘혼벼락’이 있다.

“아내의 버릇없는 말에 사내가 곧 한바탕 야단벼락을 내리고 싶었으나 ….”(홍명희, 〈임꺽정〉) “까딱 잘못해서 모시옷에 얼이라도 가면 야단벼락이 떨어지고 ….”(박경리, 〈파시1〉) “그렇게 혼벼락 맞고도 언감생심 덤벼들겠습니까?”(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네놈이 살아남는다면 혼벼락을 내어줄 테니.”(박경리, 〈토지〉) “바로 이때 녀석의 아버지가 혼벼락을 내주려고 몽둥이를 거머잡고 연기 나는 써까래 사이로 들이닥쳐 …”(한상렬, 〈문장표현의 기법〉)

‘야단벼락’은 “눈물 쏙 빠지게 벼락야단을 맞지 않았겠습니까”처럼 앞뒤를 바꿔 쓰기도 하는데, 뜻은 ‘갑작스레 소리 높여 하는 아주 심한 꾸지람이나 나무람’을, ‘혼벼락’은 ‘혼이 빠질 정도로 심한 꾸지람이나 나무람’의 뜻을 나타낸다. 줄기찬 장맛비로 온나라가 물난리를 겪는다. 막개발로 사람손을 많이 탄 지역에 수해가 심각했다. 하늘의 야단벼락, 혼벼락인 듯싶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0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93
1984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065
1983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065
1982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66
1981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67
1980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074
1979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075
1978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082
1977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86
1976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089
197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093
1974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099
1973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02
1972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03
1971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05
1970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05
1969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06
1968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07
1967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109
1966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10
1965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12
1964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112
1963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