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4 16:42

언어 보존

조회 수 738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어 보존

사라져가는 말을 보존한다는 것은 이들 말을 되살려 직접 쓰도록 하거나, 적어도 문서나 음성·영상으로 기록하여 오래도록 남기는 일이다. 이들을 보존해야 하는 까닭은 뭔가?

문화인류학적 이유가 있다. 말에는 이를 쓰는 민족이 여러 세기에 걸쳐 접촉한 자연·사회 환경과 관련한 숱한 정보가 담겨 있다. 그러니 다양한 언어의 보존은 곧 인류의 문화유산을 갈무리하는 일이다. 북극의 이누이트족은 최악의 기후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하면서 이를 자신들의 ‘이누이트말’에 반영하여 얼음과 눈에 관한 다양한 명칭을 발달시켰다. 아메리카 대륙의 ‘미크맥말’은 가을에 부는 바람소리에 따라 나무에 다양한 이름을 붙인다고 한다. 어떤 나무에 70년 전과 다른 이름이 지금 붙여져 있다면, 이 나무 이름을 통해 그 사이에 벌어진 자연 변화를 짐작할 수 있다.

언어학적 이유도 있다. 개별 언어가 지닌 다양한 어휘와 문법을 보존할 수 있다. 인디언말 가운데 ‘체로키말’에는 씻는 행위에서 무려 14가지 어형이 있으며, ‘디르발말’에는 뱀장어를 가리키는 수십 가지 명칭이 있다. 언어를 지킴으로써 인류는 이런 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다. ‘한 개, 두 마리, 세 포기’의 ‘개, 마리, 포기’와 같은 세는 단위가 매우 다양하게 분화된 ‘폰페이말’에는 보통 음식과 잔치 때 자기 몫으로 받은 음식을 세는 단위가 다를 정도로 문법이 분화돼 있다. 언어가 사라진다면 결국 이런 낱말과 문법의 다양성과 섬세함을 동시에 잃고 마는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68
2336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932
2335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59
2334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788
2333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406
2332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425
2331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3144
2330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379
2329 언어로 성형수술을 / 위계질서와 개인정보 風文 2020.07.09 2235
2328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72
2327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1298
2326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649
»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385
2324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478
2323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1055
2322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70
2321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809
2320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99
2319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74
2318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9.08.02 10547
2317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4
2316 억수로 기찹데이! file 바람의종 2010.05.06 10301
2315 억수로 가찹데이! 바람의종 2010.04.23 118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