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4 16:42

언어 보존

조회 수 712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어 보존

사라져가는 말을 보존한다는 것은 이들 말을 되살려 직접 쓰도록 하거나, 적어도 문서나 음성·영상으로 기록하여 오래도록 남기는 일이다. 이들을 보존해야 하는 까닭은 뭔가?

문화인류학적 이유가 있다. 말에는 이를 쓰는 민족이 여러 세기에 걸쳐 접촉한 자연·사회 환경과 관련한 숱한 정보가 담겨 있다. 그러니 다양한 언어의 보존은 곧 인류의 문화유산을 갈무리하는 일이다. 북극의 이누이트족은 최악의 기후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하면서 이를 자신들의 ‘이누이트말’에 반영하여 얼음과 눈에 관한 다양한 명칭을 발달시켰다. 아메리카 대륙의 ‘미크맥말’은 가을에 부는 바람소리에 따라 나무에 다양한 이름을 붙인다고 한다. 어떤 나무에 70년 전과 다른 이름이 지금 붙여져 있다면, 이 나무 이름을 통해 그 사이에 벌어진 자연 변화를 짐작할 수 있다.

언어학적 이유도 있다. 개별 언어가 지닌 다양한 어휘와 문법을 보존할 수 있다. 인디언말 가운데 ‘체로키말’에는 씻는 행위에서 무려 14가지 어형이 있으며, ‘디르발말’에는 뱀장어를 가리키는 수십 가지 명칭이 있다. 언어를 지킴으로써 인류는 이런 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다. ‘한 개, 두 마리, 세 포기’의 ‘개, 마리, 포기’와 같은 세는 단위가 매우 다양하게 분화된 ‘폰페이말’에는 보통 음식과 잔치 때 자기 몫으로 받은 음식을 세는 단위가 다를 정도로 문법이 분화돼 있다. 언어가 사라진다면 결국 이런 낱말과 문법의 다양성과 섬세함을 동시에 잃고 마는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976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625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1234
    read more
  4. 두문불출

    Date2007.11.01 By바람의종 Views8850
    Read More
  5. 소설속 고장말

    Date2007.11.01 By바람의종 Views9307
    Read More
  6. 댓글

    Date2007.11.01 By바람의종 Views5446
    Read More
  7. 단도직입

    Date2007.11.02 By바람의종 Views9313
    Read More
  8. 만주말

    Date2007.11.02 By바람의종 Views7028
    Read More
  9. 미혼남·미혼녀

    Date2007.11.02 By바람의종 Views9848
    Read More
  10. 대증요법

    Date2007.11.03 By바람의종 Views6080
    Read More
  11. 쉽게 찾기

    Date2007.11.03 By바람의종 Views6434
    Read More
  12. 금과 줄

    Date2007.11.03 By바람의종 Views5856
    Read More
  13. 밀랍인형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10825
    Read More
  14. 여성상과 새말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8944
    Read More
  15. 언어 보존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7125
    Read More
  16. 야단벼락/혼벼락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8244
    Read More
  17. 봉두난발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10570
    Read More
  18. ‘뛰다’와 ‘달리다’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5601
    Read More
  19. 지역 언어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6939
    Read More
  20. 낚시질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7138
    Read More
  21. 부부 금실

    Date2007.11.06 By바람의종 Views7891
    Read More
  22. 칼미크말

    Date2007.11.06 By바람의종 Views7361
    Read More
  23. 책보따리·책보퉁이

    Date2007.11.06 By바람의종 Views8525
    Read More
  24. 사면초가

    Date2007.11.07 By바람의종 Views8001
    Read More
  25. 는개와 느리

    Date2007.11.07 By바람의종 Views1046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