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3 00:27

금과 줄

조회 수 609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금과 줄

지난 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국어 시험에 “다음 밑금 그은 문장에서 맞춤법이 틀린 낱말을 찾아 고치시오.” 하는 문제가 많았다. 그런데 60년대를 지나면서 ‘밑금’은 시나브로 ‘밑줄’로 바뀌어 요즘은 모조리 ‘밑줄’뿐이다. “다음 밑줄 친 문장에서 맞춤법이 틀린 낱말을 찾아 고치시오.” 이렇게 되었다. 우리말을 가르치는 국어 교육이 잘못 쓰는 말을 바로잡기는커녕 앞장서 틀린 말을 퍼뜨린 것이다.

종이나 마당 같이 반반한 바닥에 긋는 것은 ‘금’이다. ‘긋다’와 ‘금’, ‘그리다’와 ‘그림’과 ‘글’은 모두 같은 뿌리에서 나왔다. ‘줄’은 시험지 같은 종이에 칠 수가 없다. 빨랫줄이든 전깃줄이든 연줄이든 ‘줄’은 공중에 치는 것이고, 반반한 바닥에는 떨어뜨려 놓을 수밖에 없다. 다만, 바닥에 죽 늘어서 있는 것도 ‘줄’이다. 그러나 이런 ‘줄’은 치지 않고 짓는다. 군인은 줄을 ‘지어’ 걸어가고, 글월은 줄을 ‘지어’ 써내려 간다.

‘줄’은 생김과 쓰임에 따라 여러 가지다. 잡아당겨도 끊어지지 않도록 굵게 드린 ‘바’는 흔히 ‘밧줄’이라고 겹쳐 쓰지만, 씨름꾼이 샅에 매는 ‘샅바’는 그냥 ‘바’다. 실이나 삼이나 종이로 가늘게 꼬는 ‘노’도 ‘노끈’이라고 겹쳐 말하고 조심스러운 물건을 묶는 데 쓴다. ‘올’도 ‘줄’이기는 하나 너무 가늘어서 ‘줄’을 만드는 감에나 쓰인다. 물건을 매거나 묶거나 꿰는 데 두루 쓰이는 ‘끈’이 있고, 평평하게 너비가 있어서 허리띠, 머리띠, 애기 업는 띠로 쓰이는 ‘띠’도 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3095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9834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4488
    read more
  4. 두문불출

    Date2007.11.01 By바람의종 Views8916
    Read More
  5. 소설속 고장말

    Date2007.11.01 By바람의종 Views9571
    Read More
  6. 댓글

    Date2007.11.01 By바람의종 Views5682
    Read More
  7. 단도직입

    Date2007.11.02 By바람의종 Views9383
    Read More
  8. 만주말

    Date2007.11.02 By바람의종 Views7317
    Read More
  9. 미혼남·미혼녀

    Date2007.11.02 By바람의종 Views10114
    Read More
  10. 대증요법

    Date2007.11.03 By바람의종 Views6143
    Read More
  11. 쉽게 찾기

    Date2007.11.03 By바람의종 Views6712
    Read More
  12. 금과 줄

    Date2007.11.03 By바람의종 Views6094
    Read More
  13. 밀랍인형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10893
    Read More
  14. 여성상과 새말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9213
    Read More
  15. 언어 보존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7356
    Read More
  16. 야단벼락/혼벼락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8485
    Read More
  17. 봉두난발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10634
    Read More
  18. ‘뛰다’와 ‘달리다’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5918
    Read More
  19. 지역 언어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7199
    Read More
  20. 낚시질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7351
    Read More
  21. 부부 금실

    Date2007.11.06 By바람의종 Views7947
    Read More
  22. 칼미크말

    Date2007.11.06 By바람의종 Views7645
    Read More
  23. 책보따리·책보퉁이

    Date2007.11.06 By바람의종 Views8755
    Read More
  24. 사면초가

    Date2007.11.07 By바람의종 Views8087
    Read More
  25. 는개와 느리

    Date2007.11.07 By바람의종 Views1073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