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2 14:49

만주말

조회 수 722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만주말

물밀듯 밀려오는 외국말에 어지러워진 우리말을 걱정할 때 흔히 이런 표현을 한다. “잘못하면 우리말도 저 만주어처럼 사라질지 모른다.” 청나라를 세워 한때 중국 대륙을 지배했던 만주족이 쓰던 만주말은 이제 글자와 함께 이 세상에서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만주족은 현재 자기네 말을 버리고 중국어를 쓰고 있다. 만주말은 알타이어족의 만주-퉁구스어파에 드는 말이다. 같은 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은 대부분 중국 헤이룽장성(흑룡강성)과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에 흩어져 있는 소수민족 언어들이다. 만주말과 가장 비슷한 말은 지금 중국 서부의 신장 지역에서 쓰이는 ‘시버말’이다.

현재 만주말이 쓰이는 유일한 곳은 중국 헤이룽장성 푸유현의 작은 마을 산짜스촌이다. 현대적 목축업이 발전하여 집안마다 수입이 꽤 높은 부유한 마을이라고 이 마을 촌장이 방문객에게 소개했다. 그래서 그런지 사람들의 표정은 한결같이 밝았다. 이 마을에는 약 280집, 천여 명이 살고 있다. 그 절반 정도가 만주족이며, 그 밖에 한족을 비롯한 여러 겨레가 어울려 살고 있다. 그 만주족 가운데 실제 만주말로 대화할 수 있는 사람은 스물에 불과하며, 그저 몇 마디 정도 알아들을 수 있는 사람까지 합쳐도 200명을 넘지 못한다.

그 스무 명, 또는 200명이 세상을 등지고 나면 만주말은 영영 사라져 버릴 것이다. “우리말도 저 만주어처럼 사라질 위기에 이르기 전에” 우리 모두 우리말 지킴이가 돼야 할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2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7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630
3062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367
3061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359
3060 추근대다, 찝적대다 바람의종 2011.12.12 13359
3059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57
3058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348
3057 도시이름 바람의종 2011.11.14 13347
3056 하락세로 치닫다 바람의종 2009.02.05 13343
3055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335
3054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35
3053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28
3052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78
3051 뒤처지다 /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3.27 13278
3050 ‘-율’과 ‘-률’ 바람의종 2010.04.18 13263
3049 바치다,받치다,받히다 바람의종 2010.04.19 13263
3048 일본식 용어 - ㅌ ~ ㅎ : "政治는 일본식 우리식은 政事" - 김성동 / 소설가 바람의종 2008.03.15 13258
3047 목재가구 / 목제가구 바람의종 2009.11.23 13237
3046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236
3045 댕기풀이 風磬 2006.11.06 13223
3044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223
3043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216
3042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212
3041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2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