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1 11:27

댓글

조회 수 556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댓글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인터넷 문화와 관련된 새말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인터넷 게시판에 오른 글을 보고 새로운 의견을 피력하는 짧은 글을 영어권에서는 주로 ‘코멘트’(comment)라 하고 우리는 ‘리플라이’(reply)를 줄여 만든 말인 ‘리플’ 혹은 ‘댓글’이라는 말을 썼다. ‘리플’과 ‘댓글’ 두루 200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리플’은 국어원에서 2004년에 우리말 다듬기 말터 사이트(malteo.net)를 만들면서 초창기에 다듬을 대상으로 삼은 말이었다. 그런 영향인지 처음에는 ‘리플’이 강세였다가 요즘에는 ‘댓글’이 많이 쓰인다. 이런 추세는 방송에도 반영이 되어 한 방송 프로그램의 ‘리플하우스’라는 꼭지가 없어지고 대신 ‘공감 댓글’이라는 꼭지가 생겼다. 프로그램의 성격이 우리말에 대한 관심을 이끄는 방향으로 바뀌면서 함께 바뀐 것이어서 더욱 반가운 일이다. ‘댓글문화’라는 말이 백과사전의 올림말이 된 것을 보아도 ‘댓글’이라는 말이 제대로 정착했음을 알 수 있다.

국어원에서는 서툰 외래어나 외국어를 대신할 우리말로 된 새말을 국민과 함께 만들어 나가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모티콘’ 대신에 ‘그림말’을, ‘네티즌’ 대신 ‘누리꾼’을, ‘메신저’ 대신 ‘쪽지창’을 쓰자는 것이다. ‘댓글’이라는 새말이 정체불명의 영어 ‘리플’을 누르고 자리를 잡았듯이 쉬운 우리말로 된 새말들이 더 널리 쓰이기를 기대한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1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8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690
3062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55
3061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353
3060 도시이름 바람의종 2011.11.14 13347
3059 추근대다, 찝적대다 바람의종 2011.12.12 13347
3058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340
3057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35
3056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334
3055 하락세로 치닫다 바람의종 2009.02.05 13325
3054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18
3053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301
3052 뒤처지다 /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3.27 13278
3051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72
3050 바치다,받치다,받히다 바람의종 2010.04.19 13261
3049 일본식 용어 - ㅌ ~ ㅎ : "政治는 일본식 우리식은 政事" - 김성동 / 소설가 바람의종 2008.03.15 13254
3048 ‘-율’과 ‘-률’ 바람의종 2010.04.18 13237
3047 목재가구 / 목제가구 바람의종 2009.11.23 13229
3046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219
3045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210
3044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207
3043 댕기풀이 風磬 2006.11.06 13195
3042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191
3041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1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