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1 11:26

소설속 고장말

조회 수 929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설속 고장말

괜찮은 소설들을 읽다보면 모를 말들이 꽤 나오는데도 그냥 큰 줄거리를 따라 어림으로 읽고 지나친다. 박경리의 소설〈토지〉에는 ‘가이방하다’(비슷하다)는 말이 많이 나온다. 전북 방언 화자인 필자는 도대체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다. ‘깝치다’가 나와서 ‘까불다’가 아닐까 생각했더니 ‘재촉하다’는 뜻이다.

조정래의 〈태백산맥〉에는 ‘느자구’(싹수)가 나오는데 필자는 들어본 적이 없는 말이다. ‘비문하다’(어련하다), ‘왈기다’(으르다), ‘종그다’(노리다), ‘뜨광하다’(뜨악하다) 등 그동안 들어본 적이 없는 낱말들이 상당히 많다.

최명희의 소설〈혼불〉을 보면 ‘보독씨리다’(부리다·넘어뜨리다), ‘애돌하다’(안타까워하다), ‘사운거리다’(살랑거리다) 등 전북 사투리가 많이 나온다. 다른 방언의 화자들이 잘 모르는 말들이다.

소설에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독특한 말들이 숱하게 녹아서 실려 있다. 그런데 사전에도 나오지 않는 어려운 고장말을 독자들이 이해하지 않은 채 읽고 넘긴다. 방언사전과 어휘사전이 일부 나와 있기는 하지만 일반인들이 구입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독자들은 소설에 나오는 고장말을 이해하는 일이 매우 어렵다. 문제를 해결하자면 우선 지방 정부가 지역 언어를 다루는 정책을 제대로 펼쳐야 한다. 중앙 정부도 표준어 정책과 아울러 방언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각 고장말 조사·보급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4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04
48 상석 風文 2023.12.05 1134
4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314
46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336
45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106
44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985
43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076
42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994
41 '-시키다’ 風文 2023.12.22 1117
40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253
3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135
38 ‘~스런’ 風文 2023.12.29 1216
37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180
36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82
35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189
34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119
33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074
32 내일러 風文 2024.01.03 1124
3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263
3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10
2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78
28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42
2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