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1 11:26

소설속 고장말

조회 수 959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설속 고장말

괜찮은 소설들을 읽다보면 모를 말들이 꽤 나오는데도 그냥 큰 줄거리를 따라 어림으로 읽고 지나친다. 박경리의 소설〈토지〉에는 ‘가이방하다’(비슷하다)는 말이 많이 나온다. 전북 방언 화자인 필자는 도대체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다. ‘깝치다’가 나와서 ‘까불다’가 아닐까 생각했더니 ‘재촉하다’는 뜻이다.

조정래의 〈태백산맥〉에는 ‘느자구’(싹수)가 나오는데 필자는 들어본 적이 없는 말이다. ‘비문하다’(어련하다), ‘왈기다’(으르다), ‘종그다’(노리다), ‘뜨광하다’(뜨악하다) 등 그동안 들어본 적이 없는 낱말들이 상당히 많다.

최명희의 소설〈혼불〉을 보면 ‘보독씨리다’(부리다·넘어뜨리다), ‘애돌하다’(안타까워하다), ‘사운거리다’(살랑거리다) 등 전북 사투리가 많이 나온다. 다른 방언의 화자들이 잘 모르는 말들이다.

소설에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독특한 말들이 숱하게 녹아서 실려 있다. 그런데 사전에도 나오지 않는 어려운 고장말을 독자들이 이해하지 않은 채 읽고 넘긴다. 방언사전과 어휘사전이 일부 나와 있기는 하지만 일반인들이 구입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독자들은 소설에 나오는 고장말을 이해하는 일이 매우 어렵다. 문제를 해결하자면 우선 지방 정부가 지역 언어를 다루는 정책을 제대로 펼쳐야 한다. 중앙 정부도 표준어 정책과 아울러 방언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각 고장말 조사·보급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3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639
1918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39
1917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40
1916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342
1915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48
1914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49
1913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55
1912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364
1911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368
1910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69
1909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69
1908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73
1907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73
1906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379
1905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86
1904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99
1903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401
1902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402
1901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402
1900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403
1899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404
1898 빈소와 분향소 바람의종 2010.09.08 8405
1897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4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