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1 11:26

소설속 고장말

조회 수 9282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설속 고장말

괜찮은 소설들을 읽다보면 모를 말들이 꽤 나오는데도 그냥 큰 줄거리를 따라 어림으로 읽고 지나친다. 박경리의 소설〈토지〉에는 ‘가이방하다’(비슷하다)는 말이 많이 나온다. 전북 방언 화자인 필자는 도대체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다. ‘깝치다’가 나와서 ‘까불다’가 아닐까 생각했더니 ‘재촉하다’는 뜻이다.

조정래의 〈태백산맥〉에는 ‘느자구’(싹수)가 나오는데 필자는 들어본 적이 없는 말이다. ‘비문하다’(어련하다), ‘왈기다’(으르다), ‘종그다’(노리다), ‘뜨광하다’(뜨악하다) 등 그동안 들어본 적이 없는 낱말들이 상당히 많다.

최명희의 소설〈혼불〉을 보면 ‘보독씨리다’(부리다·넘어뜨리다), ‘애돌하다’(안타까워하다), ‘사운거리다’(살랑거리다) 등 전북 사투리가 많이 나온다. 다른 방언의 화자들이 잘 모르는 말들이다.

소설에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독특한 말들이 숱하게 녹아서 실려 있다. 그런데 사전에도 나오지 않는 어려운 고장말을 독자들이 이해하지 않은 채 읽고 넘긴다. 방언사전과 어휘사전이 일부 나와 있기는 하지만 일반인들이 구입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독자들은 소설에 나오는 고장말을 이해하는 일이 매우 어렵다. 문제를 해결하자면 우선 지방 정부가 지역 언어를 다루는 정책을 제대로 펼쳐야 한다. 중앙 정부도 표준어 정책과 아울러 방언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각 고장말 조사·보급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71
341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04
3413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805
3412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807
3411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830
3410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838
3409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846
3408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877
3407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893
3406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896
3405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899
3404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風文 2022.09.10 903
3403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936
3402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941
3401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942
3400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946
3399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954
3398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風文 2022.10.06 957
3397 대명사의 탈출 風文 2021.09.02 969
3396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971
3395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972
3394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975
3393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9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