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8 11:36

사전과 방언

조회 수 604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전과 방언

남북의 여러 학자와 전문가들이 함께 만들고 있는〈겨레말큰사전〉에 실릴 올림말로 약 30만 낱말을 잡고 있다. 고유어를 중심으로 편찬하는 까닭에 고장 정서가 스민 방언, 여러 문학 작품에서 부려쓰는 토박이 어휘들이 약 10만 낱말 정도 새로 실린다. 왜 방언과 작품의 어휘를 이처럼 많이 싣는 것일까? 그것은 ‘민족적 특징을 나타내는 고유어’를 중심으로 한다고 합의한 편찬 지침에 따르는 것이다. 우리 겨레의 역사, 다양한 지역의 전통과 민속, 고유한 정서와 문화를 방언과 문학작품 속의 언어들이 많이 담고 있기 때문이다. 표준어의 경우에는 ‘내’(煙)와 ‘연기’를 사전에 올리고 있으나 북쪽의 문화어에서는 ‘내, 연기’와 더불어 방언인 ‘내굴’을 주된 어휘로 싣고 있다. 따라서〈조선말대사전〉에는 ‘내굴길, 내굴내, 내굴먼지, 내굴분무기, 내굴칸, 내굴쏘임, 내굴찜, 내굴안개’ 등의 복합어가 표제항으로 올랐다. 적극적으로 고장말을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남쪽의 국어사전들에서는 ‘내, 연기’의 사투리인 ‘내음, 내금’을 ‘내’의 경상방언으로만 표기하고 어휘의 방언적 특징과 예문을 내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그간 방언 어휘를 적극적으로 연구하지 않아서 그렇다.〈겨레말큰사전〉은 이를 보완하여 배달겨레의 특성을 지닌 토박이말인 고장말을 아름답고 품위 있는 우리말로 대접해 사전에 올리려 애쓰고 있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65
48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149
47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42
46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841
45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490
44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837
43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140
42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451
41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492
40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342
39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117
38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922
37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571
36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204
35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090
34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914
33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822
32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419
31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21
30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6977
29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425
28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286
27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0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