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8 11:36

사전과 방언

조회 수 614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전과 방언

남북의 여러 학자와 전문가들이 함께 만들고 있는〈겨레말큰사전〉에 실릴 올림말로 약 30만 낱말을 잡고 있다. 고유어를 중심으로 편찬하는 까닭에 고장 정서가 스민 방언, 여러 문학 작품에서 부려쓰는 토박이 어휘들이 약 10만 낱말 정도 새로 실린다. 왜 방언과 작품의 어휘를 이처럼 많이 싣는 것일까? 그것은 ‘민족적 특징을 나타내는 고유어’를 중심으로 한다고 합의한 편찬 지침에 따르는 것이다. 우리 겨레의 역사, 다양한 지역의 전통과 민속, 고유한 정서와 문화를 방언과 문학작품 속의 언어들이 많이 담고 있기 때문이다. 표준어의 경우에는 ‘내’(煙)와 ‘연기’를 사전에 올리고 있으나 북쪽의 문화어에서는 ‘내, 연기’와 더불어 방언인 ‘내굴’을 주된 어휘로 싣고 있다. 따라서〈조선말대사전〉에는 ‘내굴길, 내굴내, 내굴먼지, 내굴분무기, 내굴칸, 내굴쏘임, 내굴찜, 내굴안개’ 등의 복합어가 표제항으로 올랐다. 적극적으로 고장말을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남쪽의 국어사전들에서는 ‘내, 연기’의 사투리인 ‘내음, 내금’을 ‘내’의 경상방언으로만 표기하고 어휘의 방언적 특징과 예문을 내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그간 방언 어휘를 적극적으로 연구하지 않아서 그렇다.〈겨레말큰사전〉은 이를 보완하여 배달겨레의 특성을 지닌 토박이말인 고장말을 아름답고 품위 있는 우리말로 대접해 사전에 올리려 애쓰고 있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75
1808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489
1807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02
1806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253
1805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92
1804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256
1803 부럼 風磬 2006.12.20 7211
1802 부름말과 지칭 바람의종 2008.03.12 10818
1801 부릅뜨다 file 바람의종 2010.01.11 8823
1800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519
1799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50
1798 부문과 부분 바람의종 2008.04.21 7791
1797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19
1796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61
1795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36
1794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7
1793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73
1792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72
1791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98
1790 부엌떼기, 새침데기, 귀때기 바람의종 2009.02.10 7600
1789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203
1788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611
1787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6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