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8 11:36

사전과 방언

조회 수 612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전과 방언

남북의 여러 학자와 전문가들이 함께 만들고 있는〈겨레말큰사전〉에 실릴 올림말로 약 30만 낱말을 잡고 있다. 고유어를 중심으로 편찬하는 까닭에 고장 정서가 스민 방언, 여러 문학 작품에서 부려쓰는 토박이 어휘들이 약 10만 낱말 정도 새로 실린다. 왜 방언과 작품의 어휘를 이처럼 많이 싣는 것일까? 그것은 ‘민족적 특징을 나타내는 고유어’를 중심으로 한다고 합의한 편찬 지침에 따르는 것이다. 우리 겨레의 역사, 다양한 지역의 전통과 민속, 고유한 정서와 문화를 방언과 문학작품 속의 언어들이 많이 담고 있기 때문이다. 표준어의 경우에는 ‘내’(煙)와 ‘연기’를 사전에 올리고 있으나 북쪽의 문화어에서는 ‘내, 연기’와 더불어 방언인 ‘내굴’을 주된 어휘로 싣고 있다. 따라서〈조선말대사전〉에는 ‘내굴길, 내굴내, 내굴먼지, 내굴분무기, 내굴칸, 내굴쏘임, 내굴찜, 내굴안개’ 등의 복합어가 표제항으로 올랐다. 적극적으로 고장말을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남쪽의 국어사전들에서는 ‘내, 연기’의 사투리인 ‘내음, 내금’을 ‘내’의 경상방언으로만 표기하고 어휘의 방언적 특징과 예문을 내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그간 방언 어휘를 적극적으로 연구하지 않아서 그렇다.〈겨레말큰사전〉은 이를 보완하여 배달겨레의 특성을 지닌 토박이말인 고장말을 아름답고 품위 있는 우리말로 대접해 사전에 올리려 애쓰고 있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30
3084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997
3083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816
3082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1074
3081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1021
3080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979
3079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915
3078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903
3077 옹알이 風文 2021.09.03 1263
3076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784
3075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960
3074 대명사의 탈출 風文 2021.09.02 1056
3073 말의 토착화 / 국가와 교과서 風文 2020.07.20 2339
307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다르게 생각해야 '물건'이 보인다 風文 2020.07.19 2758
3071 사라진 아빠들 / 피빛 선동 風文 2020.07.19 2316
307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디어도 끈기다 風文 2020.07.19 2689
306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143
306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포도밭의 철학 風文 2020.07.17 2614
3067 '명문'이라는 이름 / 가족의 의미 風文 2020.07.16 2583
306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대기업은 싫습니다 風文 2020.07.15 2543
3065 포퓰리즘 / 특칭화의 문제 風文 2020.07.15 2191
306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들은 잡초처럼 키워라 風文 2020.07.14 2560
3063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1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