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6 14:48

맨정신/맨흙

조회 수 812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맨정신/맨흙

‘맨’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맨 꼭대기’, ‘맨 처음’처럼 명사를 꾸미는 구실, ‘이 방에는 맨 책뿐이다’, ‘동생은 맨 놀기만 한다’처럼 서술어를 꾸미는 구실이 있고, ‘맨땅·맨발·맨밥·맨주먹’처럼 몇몇 명사 앞에 붙어 새 낱말을 만드는 구실이 있다. 관형사 ‘맨’은 ‘가장·제일’의 뜻으로 쓰이고, 부사 ‘맨’은 ‘온통·모두 다’의 뜻으로 쓰인다. 앞가지(접두사) ‘맨’은 ‘다른 것이 없는’,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의 뜻으로 쓰인다. 관형사와 부사로 쓰이는 ‘맨’은 뒤에 오는 낱말과 띄어 써야 하고, 앞가지로 쓰이는 ‘맨’은 뒤에 오는 낱말과 붙여 써야 한다. 앞가지 ‘맨’이 결합된 말 가운데 사전에 오르지 않은 낱말로 ‘맨정신’, ‘맨흙’이 있다. 맨흙과 비슷한 말로는 맨땅이 있다. “그건 술주정이 아니었어요. 맨정신으론 말할 수가 없어 잠시 술힘을 빌었을 뿐이에요.”(홍성원 〈육이오〉) “그 웃음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웃음 뒤에 나타난 것은 맨정신의 얼굴이 아니었다.”(박경리 〈토지〉) “아스팔트가 끝난 길가 맨흙 위에 패어나간 타이어 자국이 남아 있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맨정신’은 ‘맑은 정신’, ‘맨흙’은 ‘다른 게 섞이거나 깔지 않은 흙’이다. 앞가지에는 ‘맨’ 말고도 ‘군’(군걱정·군불 …)’, ‘날’(날강도·날김치 …), ‘덧’(덧니·덧쓰다 …) 따위가 있는데, 큰사전들에는 200개 안팎이 수록돼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35
2160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35
2159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462
2158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508
2157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307
2156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463
2155 맞장(맞짱) 바람의종 2009.09.27 9677
2154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1994
2153 맞춤법 비켜가기 바람의종 2008.04.06 8901
2152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719
2151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風文 2022.09.10 967
2150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524
2149 맞히다와 맞추다 바람의종 2010.02.06 10708
2148 바람의종 2009.03.18 5199
2147 매기다와 메기다 바람의종 2010.03.12 19608
2146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83
2145 매무시 風磬 2006.11.26 7952
2144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854
2143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364
2142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748
2141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10
2140 맨날, 만날 바람의종 2008.09.24 7423
2139 맨들맨들, 반들반들, 번들번들, 미끌, 미끈 바람의종 2009.11.03 123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