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6 14:48

사라져가는 언어(1)

조회 수 665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라져가는 언어(1)

유네스코는 지금 같은 상황이라면 현재 6000여 언어가 21세기 말께는 그 절반 또는 90%까지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본다. 언어는 새로 생겨날 수도 있지만, 이처럼 사라지기도 한다. 우리말과 지리·계통에서 이웃한 만주말도 당장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한 언어가 사라진다는 것은 그 자체에만 그치지 않고, 그 언어에 반영된 문화와 정신까지 사라져 인류의 소중한 자산이 없어지고 마는 것이다. 인류에게 지난 20세기는 획일성의 시대, 다양성 말살 시대였다. 다민족 국가인 미국에 이어 소련과 중국 같은 강대국이 세워지면서 이들 나라에 속한 다양한 소수민족들은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우세한 언어와 문화에 급격하게 동화되어 갔다. 이들 강대국의 언어문화 정책은 겉으로는 소수민족 언어를 유지·보호하는 것으로 돼 있지만 실제로는 거역할 수 없는 압력으로 작용해 자신들의 고유어를 잃어갔다. 얼마 전 러시아에서 만난 어느 소수민족 언어연구소 소장의 말은 되새겨볼 만하다. “국가가, 사냥하며 고유한 말을 쓰며 살아가는 우리를 이곳 도회지로 데려와 교육시키고 문화생활을 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나에게는 우리 민족의 언어·문화를 연구하도록 배려했다. 그러나 이렇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우리 민족과 문화, 언어는 곧 사라지게 되었다.” 인류 문화의 값진 유산인 언어가 사라져 가는 것을 우리는 보고만 있어야 할까? 그리고 과연 우리말은 괜찮을까?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7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290
3084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410
3083 축적과 누적 바람의종 2010.03.08 8915
3082 추호도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3905
3081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80
3080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281
3079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194
3078 추석 바람의종 2010.08.07 11183
3077 추모, 추도 바람의종 2011.12.23 11340
3076 추리닝 바람의종 2009.08.01 6848
3075 추근대다, 찝적대다 바람의종 2011.12.12 13345
3074 추격, 추적 바람의종 2010.10.18 11342
3073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10008
3072 총뿌리, 돌뿌리 바람의종 2009.12.23 11339
3071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607
3070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799
3069 촌지(寸志) 바람의종 2009.03.31 6886
3068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212
3067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574
3066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864
3065 초죽음 바람의종 2010.01.06 10864
3064 초주검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31 10623
3063 초생달, 초승달 바람의종 2010.05.12 154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