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6 14:48

사라져가는 언어(1)

조회 수 673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라져가는 언어(1)

유네스코는 지금 같은 상황이라면 현재 6000여 언어가 21세기 말께는 그 절반 또는 90%까지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본다. 언어는 새로 생겨날 수도 있지만, 이처럼 사라지기도 한다. 우리말과 지리·계통에서 이웃한 만주말도 당장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한 언어가 사라진다는 것은 그 자체에만 그치지 않고, 그 언어에 반영된 문화와 정신까지 사라져 인류의 소중한 자산이 없어지고 마는 것이다. 인류에게 지난 20세기는 획일성의 시대, 다양성 말살 시대였다. 다민족 국가인 미국에 이어 소련과 중국 같은 강대국이 세워지면서 이들 나라에 속한 다양한 소수민족들은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우세한 언어와 문화에 급격하게 동화되어 갔다. 이들 강대국의 언어문화 정책은 겉으로는 소수민족 언어를 유지·보호하는 것으로 돼 있지만 실제로는 거역할 수 없는 압력으로 작용해 자신들의 고유어를 잃어갔다. 얼마 전 러시아에서 만난 어느 소수민족 언어연구소 소장의 말은 되새겨볼 만하다. “국가가, 사냥하며 고유한 말을 쓰며 살아가는 우리를 이곳 도회지로 데려와 교육시키고 문화생활을 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나에게는 우리 민족의 언어·문화를 연구하도록 배려했다. 그러나 이렇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우리 민족과 문화, 언어는 곧 사라지게 되었다.” 인류 문화의 값진 유산인 언어가 사라져 가는 것을 우리는 보고만 있어야 할까? 그리고 과연 우리말은 괜찮을까?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7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92
48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288
47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278
46 내색 風文 2023.11.24 1268
45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風文 2022.08.15 1255
44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風文 2022.10.06 1253
4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관리자 2022.02.13 1251
42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1223
41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1222
40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1214
39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1209
38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1201
37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1197
36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1189
35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1184
34 뒷담화 風文 2020.05.03 1162
33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161
32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風文 2022.09.10 1157
31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132
30 대명사의 탈출 風文 2021.09.02 1122
29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1117
28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1105
27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10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