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1 07:17

경제성

조회 수 9648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경제성

오래도록 전라 방언을 써 온 나이 든 분들은 ‘집에서’를 [집이서]로, ‘논에서’를 [논으서]로 소리 낸다. 또한 ‘하고’를 [허고]로, ‘하려면’을 [헐라먼, 힐라먼]으로 소리 낸다. 여기서 전라 사투리에서는 모음 [에] 대신 [으, 이]로, [아] 대신 [어]로 소리 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모음은 높은 음으로 혀 앞에서 발음하고, [으] 모음은 높은 음으로 혀 가운데서 소리를 낸다. [어] 모음은 약간 높은 음으로 혀 가운데서 발음하기 때문에 낮은 음이면서 혀 가운데서 발음하는 [아] 모음보다 훨씬 소리 내기가 쉽다. 같은 환경에서 [으]를 가장 짧게 발음하고, [애, 아]를 가장 길게 소리 낸다. 높은 음인 [이, 우, 으]는 다른 모음들보다 소리가 짧다. 이처럼 토씨에 쓰이는 모음은 대체로 짧게 발음하는 모음을 사용하면서 발음을 짧게 하는 경향이 있다.

‘학교’를 [핵교]라 하고, ‘고기’를 [괴기]라고 소리 내는 것도 역시 발음을 쉽게 하고자 하는 방편이다. ‘형’을 [성]이라 하고, ‘기름’을 [지름]이라고 하는 것도 발음을 쉽게 하려고 바꾸어내는 발음이다. 자음 [ㅎ]은 목에서 나는 파열음인데, 이 소리를 마찰음 [ㅅ]으로 바꾸어 소리내기를 쉽게 하고 있다.

사투리에서 사용하는 발음을 해당 지역의 말투로 간단히 처리하는 자세는 바람직하지 않다. 방언의 독특한 발음들은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고 경제적으로 변화한 언어 현상인 까닭이다.

이태영/전북대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0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85
1984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285
1983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283
1982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283
1981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82
1980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281
1979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272
1978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63
1977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62
1976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62
1975 -씩 바람의종 2010.01.23 9260
1974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260
1973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58
1972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255
1971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52
1970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49
1969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47
1968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45
1967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41
1966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40
1965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40
1964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38
1963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