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1 07:17

경제성

조회 수 9935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경제성

오래도록 전라 방언을 써 온 나이 든 분들은 ‘집에서’를 [집이서]로, ‘논에서’를 [논으서]로 소리 낸다. 또한 ‘하고’를 [허고]로, ‘하려면’을 [헐라먼, 힐라먼]으로 소리 낸다. 여기서 전라 사투리에서는 모음 [에] 대신 [으, 이]로, [아] 대신 [어]로 소리 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모음은 높은 음으로 혀 앞에서 발음하고, [으] 모음은 높은 음으로 혀 가운데서 소리를 낸다. [어] 모음은 약간 높은 음으로 혀 가운데서 발음하기 때문에 낮은 음이면서 혀 가운데서 발음하는 [아] 모음보다 훨씬 소리 내기가 쉽다. 같은 환경에서 [으]를 가장 짧게 발음하고, [애, 아]를 가장 길게 소리 낸다. 높은 음인 [이, 우, 으]는 다른 모음들보다 소리가 짧다. 이처럼 토씨에 쓰이는 모음은 대체로 짧게 발음하는 모음을 사용하면서 발음을 짧게 하는 경향이 있다.

‘학교’를 [핵교]라 하고, ‘고기’를 [괴기]라고 소리 내는 것도 역시 발음을 쉽게 하고자 하는 방편이다. ‘형’을 [성]이라 하고, ‘기름’을 [지름]이라고 하는 것도 발음을 쉽게 하려고 바꾸어내는 발음이다. 자음 [ㅎ]은 목에서 나는 파열음인데, 이 소리를 마찰음 [ㅅ]으로 바꾸어 소리내기를 쉽게 하고 있다.

사투리에서 사용하는 발음을 해당 지역의 말투로 간단히 처리하는 자세는 바람직하지 않다. 방언의 독특한 발음들은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고 경제적으로 변화한 언어 현상인 까닭이다.

이태영/전북대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9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5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419
1478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317
1477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320
1476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328
1475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329
1474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330
1473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32
1472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32
1471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35
1470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346
1469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47
1468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56
1467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56
1466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56
1465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357
1464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58
1463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58
1462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59
1461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359
1460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63
1459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64
1458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65
1457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