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0 05:29

사투리와 토박이말

조회 수 9928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투리와 토박이말

‘사투리’는 대중말(‘대중’은 ‘눈대중이 매섭다’ 하는 대중, 곧 ‘가늠’을 뜻하는 토박이말)에 맞선다. 우리가 쓰는 말에는 사투리와 대중말이 싸잡혀 있다. 대중말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온 국민이 막힘없이 주고받도록 규정에 맞추어 마련해놓은 말이고, 그 규정에서 벗어나는 우리말은 모두 사투리다. 그것에는 어느 고장에서만 쓰는 사투리도 있고, 어떤 사람이나 모둠에서만 쓰는 사투리도 있다. ‘토박이말’은 들온말(외래어)에 맞선다. 우리가 쓰는 말에는 토박이말과 들온말이 싸잡혀 있다. 우리말에는 중국과 몽골, 일본과 서양에서 들온말이 있거니와 이것들을 뺀 나머지는 토박이말이고 이것이 우리말의 알짜요 노른자위다. ‘토박이말’에는 대중말과 사투리가 있고, ‘사투리’에는 토박이말과 들온말이 있다.

‘사투리’와 ‘토박이말’은 배웠다는 사람들에게서 버림받은 낱말이다. 그들은 굳이 ‘방언/지역어’와 ‘고유어/순수국어’라는 어려운 한자말을 꾸어다 쓴다. 따져보면 ‘사투리’나 ‘토박이말’은 살갑고 올바른 낱말이지만 ‘방언/지역어’나 ‘고유어/순수국어’는 어긋나고 엉성궂은 낱말이다. ‘사투리’나 ‘토박이말’은 우리 겨레의 삶에서 나고 자라 살갑게 우리 품에 안겨들지만 ‘방언/지역어’나 ‘고유어/순수국어’는 다른 겨레의 삶에서 나고 자라 엉성궂게 우리 품을 밀어낸다. ‘사투리’나 ‘토박이말’은 떳떳하고 자랑스러운 낱말이고, ‘방언/지역어’나 ‘고유어/순수국어’는 창피하고 부끄러운 낱말이다.

김수업/우리말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7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2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12
26 '-적' 없애야 말 된다 (14) 종합적 바람의종 2008.03.08 12344
25 '-시키다’ 風文 2023.12.22 1050
24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8.07.05 11234
23 훕시 바람의종 2009.07.12 8862
22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841
21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508
20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260
19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052
18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241
17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607
16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463
15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063
14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076
13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392
12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350
11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9900
10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762
9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038
8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268
7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7759
6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9993
5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5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