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8 01:18

우리

조회 수 9084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

대화 상황에는 반드시 사람이 등장한다. 이들을 문법에서는 인칭이라 한다. 말하는 이가 1인칭, 듣는 이가 2인칭, 이야기에 언급되는 이가 3인칭이다. 인칭이 대명사로 실현되면 인칭대명사다. 우리말의 1인칭 대명사는 ‘나’(단수)와 ‘우리’(복수)가 있다. 상대를 대접해서 말할 때는 ‘저’와 ‘저희’라는 낱말을 쓴다.

1인칭 복수 ‘우리’라는 말은 따져 보면 두 가지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인다. “우리는 전철 타고 갈 테니, 너희들은 버스로 가거라”라는 문장의 ‘우리’에는 말을 듣는 상대방인 ‘너희’는 제외돼 있다. 그러나 “그러지 말고 우리 함께 전철로 갑시다”의 ‘우리’에는 말을 듣는 상대방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라는 대명사는 말하는 사람 쪽만 가리키기도 하고, 말하는 사람과 듣는 상대편까지 모두 포함하여 가리키기도 한다.

그런데 언어에 따라서는 이런 두 가지 의미를 구분하여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내기도 한다. 알타이언어 가운데 그런 언어가 흔히 있다. 만주말을 보면 1인칭 복수대명사가 [be]와 [muse] 둘이 있다. [be]는 말하는 사람 쪽만 가리키고, [muse]는 말을 듣는 상대편까지 포함하여 가리킨다. “meni gurun”은 상대편 나라에 대하여 “우리 나라”라는 뜻이고, “musei gurun”은 “우리 두 나라 함께”라는 뜻이다. 몽골 옛말에도 ‘ba’와 ‘bida’의 구분이 있었다. 이러한 알타이언어의 특징이 우리말에는 없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5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032
1632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552
1631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550
1630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50
1629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48
1628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47
1627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46
1626 담다 / 담그다 바람의종 2012.03.02 8545
1625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42
1624 노동1호 바람의종 2007.06.11 8538
1623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34
1622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32
1621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32
1620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31
1619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528
1618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27
1617 X세대 바람의종 2008.02.20 8524
1616 단골집 風磬 2006.11.06 8523
1615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15
1614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514
1613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514
1612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14
161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