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8 01:18

우리

조회 수 9063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

대화 상황에는 반드시 사람이 등장한다. 이들을 문법에서는 인칭이라 한다. 말하는 이가 1인칭, 듣는 이가 2인칭, 이야기에 언급되는 이가 3인칭이다. 인칭이 대명사로 실현되면 인칭대명사다. 우리말의 1인칭 대명사는 ‘나’(단수)와 ‘우리’(복수)가 있다. 상대를 대접해서 말할 때는 ‘저’와 ‘저희’라는 낱말을 쓴다.

1인칭 복수 ‘우리’라는 말은 따져 보면 두 가지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인다. “우리는 전철 타고 갈 테니, 너희들은 버스로 가거라”라는 문장의 ‘우리’에는 말을 듣는 상대방인 ‘너희’는 제외돼 있다. 그러나 “그러지 말고 우리 함께 전철로 갑시다”의 ‘우리’에는 말을 듣는 상대방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라는 대명사는 말하는 사람 쪽만 가리키기도 하고, 말하는 사람과 듣는 상대편까지 모두 포함하여 가리키기도 한다.

그런데 언어에 따라서는 이런 두 가지 의미를 구분하여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내기도 한다. 알타이언어 가운데 그런 언어가 흔히 있다. 만주말을 보면 1인칭 복수대명사가 [be]와 [muse] 둘이 있다. [be]는 말하는 사람 쪽만 가리키고, [muse]는 말을 듣는 상대편까지 포함하여 가리킨다. “meni gurun”은 상대편 나라에 대하여 “우리 나라”라는 뜻이고, “musei gurun”은 “우리 두 나라 함께”라는 뜻이다. 몽골 옛말에도 ‘ba’와 ‘bida’의 구분이 있었다. 이러한 알타이언어의 특징이 우리말에는 없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0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527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267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84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79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51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52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02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87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246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1005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815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63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45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946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99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887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91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124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92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840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56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994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8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