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6 04:31

방언은 모국어다

조회 수 9096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방언은 모국어다

〈혼불〉을 지은 작가 최명희는 토박이말 또는 고장말을 애써 찾아 쓴 작가로 유명하다. 그는 “모국어는 우리 삶의 토양에서 우리의 생각과 느낌을 품고 길러 정신의 꽃으로 피워주는 씨앗”이라고 말한다. 한국어를 단순히 의사를 소통하는 수단인 언어로 보기보다는 이 땅의 문화를 이끌어가는 ‘씨앗’으로 본 것이다. 모국어라는 언어에 오랜 세월 이어져 온 인간과 자연의 모습, 전통, 문화, 예술의 혼이 살아 숨 쉬고 있다는 사실을 일찍 깨달은 작가였다. 그리하여 “유구한 우리나라의 기후와 풍토, 산천초목, 전통적인 생활 습관, 사회 제도, 촌락 구조, 역사, 세시풍속, 관혼상제, 통과의례, 그리고 주거 형태와 복장과 음식이며 가구·그릇·소리·노래·언어·빛깔·몸짓” 들을 제대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말하자면 우리 혼이 담긴 토박이말 또는 고장말의 아름다움을 전하고자 소설을 쓴 것이다. 이런 깨달음을 전하는 까닭은 “피폐한 현대인들의 떠돌이 정서에 한 점 본질적인 고향의 불빛을 전하기 위한” 것이었다. ‘떠돌이 정서’는 바로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 시대 한국인들이 지닌 불안정한 정서를 일컫는다. 이런 사람들에게 우리 문화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전하여 한국인으로서 안정된 정서를 찾게 해 주려는 의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게 모국어란 곧 방언이었고 전통과 자연과 인간을 합일시키는 매체였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73
1962 초죽음 바람의종 2010.01.06 10896
1961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639
1960 옷깃을 여미다 바람의종 2010.01.06 12982
1959 덕아웃이 아니고 왜 더그아웃? 바람의종 2010.01.06 9627
1958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98
1957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242
1956 보도시 한 절(술) 뜨고 file 바람의종 2010.01.06 5518
1955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35
1954 눈꼬리 바람의종 2009.12.23 13020
1953 총뿌리, 돌뿌리 바람의종 2009.12.23 11368
1952 사람 file 바람의종 2009.12.21 11023
1951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604
1950 어딜 갈려고 바람의종 2009.12.18 8090
1949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627
1948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64
1947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835
1946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84
1945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36
1944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86
1943 너나 잘해 바람의종 2009.12.14 9459
1942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692
1941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1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