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6 04:31

방언은 모국어다

조회 수 8872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방언은 모국어다

〈혼불〉을 지은 작가 최명희는 토박이말 또는 고장말을 애써 찾아 쓴 작가로 유명하다. 그는 “모국어는 우리 삶의 토양에서 우리의 생각과 느낌을 품고 길러 정신의 꽃으로 피워주는 씨앗”이라고 말한다. 한국어를 단순히 의사를 소통하는 수단인 언어로 보기보다는 이 땅의 문화를 이끌어가는 ‘씨앗’으로 본 것이다. 모국어라는 언어에 오랜 세월 이어져 온 인간과 자연의 모습, 전통, 문화, 예술의 혼이 살아 숨 쉬고 있다는 사실을 일찍 깨달은 작가였다. 그리하여 “유구한 우리나라의 기후와 풍토, 산천초목, 전통적인 생활 습관, 사회 제도, 촌락 구조, 역사, 세시풍속, 관혼상제, 통과의례, 그리고 주거 형태와 복장과 음식이며 가구·그릇·소리·노래·언어·빛깔·몸짓” 들을 제대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말하자면 우리 혼이 담긴 토박이말 또는 고장말의 아름다움을 전하고자 소설을 쓴 것이다. 이런 깨달음을 전하는 까닭은 “피폐한 현대인들의 떠돌이 정서에 한 점 본질적인 고향의 불빛을 전하기 위한” 것이었다. ‘떠돌이 정서’는 바로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 시대 한국인들이 지닌 불안정한 정서를 일컫는다. 이런 사람들에게 우리 문화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전하여 한국인으로서 안정된 정서를 찾게 해 주려는 의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게 모국어란 곧 방언이었고 전통과 자연과 인간을 합일시키는 매체였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56
1522 성+ 이름 바람의종 2012.03.27 11159
1521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23
1520 성곽 바람의종 2007.07.24 6400
1519 성급, 조급 바람의종 2012.08.30 10056
1518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11
1517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6944
1516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6995
1515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67
1514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504
1513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273
1512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475
1511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62
1510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27
1509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23
1508 세금과 요금 바람의종 2008.05.11 5502
1507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21
1506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121
1505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280
1504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30
1503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36
1502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09.06.12 7145
1501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10.10.21 106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