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4 01:36

쉬다와 놀다

조회 수 10244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쉬다와 놀다

‘쉬다’는 사람의 목숨에서 ‘움직이다’와 짝을 이룬다. ‘쉬다’와 ’움직이다’가 번갈아 되풀이하며 사람 목숨을 이룬다. 엄마 뱃속에서는 ‘쉬다’와 ‘움직이다’의 되풀이가 아주 잦다가 태어나면 차차 늘어져서 예닐곱 살부터는 거의 하루에 한 차례씩 되풀이한다. 밤이면 쉬다가 낮이면 움직이며 살아가는 것이 사람의 목숨이다. ‘쉬다’와 ‘움직이다’는 삶에서 맡은 몫도 짝을 이룬다. 쉬는 것이 없으면 움직일 수가 없고, 움직이는 것이 없으면 쉴 수가 없다. 잘 움직이려면 먼저 잘 쉬어야 하고, 잘 쉬려면 먼저 잘 움직여야 한다. 이것이 사람 목숨을 제대로 반듯하게 살리는 길이다.

목숨의 반쪽인 ‘움직이다’는 ‘놀다’와 ‘일하다’로 나뉜다. ‘놀다’는 목숨이 즐거움을 맛보려는 움직임이고, ‘일하다’는 목숨이 살아남으려는 움직임이다. ‘놀다’와 ‘일하다’는 ‘쉬다’와 ‘움직이다’처럼 처음부터 짝을 이루지 않았다. 엄마 뱃속에서는 움직임이 모두 ‘놀다’였다. 자연과 문화 환경 따라 다르지만 어디서나 예닐곱 살을 넘어서면서 ‘움직이다’는 ‘놀다’와 ‘일하다’로 갈라져 나간다. 그러면 ‘쉬다’는 ‘놀다’와도 짝이 되고 ‘일하다’와도 짝이 되어 놀다가도 쉬고 일하다가도 쉬게 된다. ‘놀다’와 ‘일하다’는 물론 움직임에서 맡은 몫도 짝을 이룬다. 일을 잘 하려면 먼저 잘 놀아야 하고, 놀기를 잘 하려면 먼저 일을 잘 해야 한다. ‘놀다’와 ‘일하다’가 가지런히 짝을 이루지 못하고 한 쪽으로 기울어지면 삶은 뒤틀어진다.

김수업/우리말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91
2028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90
2027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87
2026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08
2025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62
2024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094
2023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82
2022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04
2021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270
2020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421
2019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67
2018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86
2017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246
2016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829
201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848
2014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802
2013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31
2012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16
2011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34
2010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412
2009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657
200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43
2007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59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