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3 06:02

‘우거지붙이’ 말

조회 수 10738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거지붙이’ 말

‘푸성귀를 다듬을 때에 골라 놓은 겉대’를 ‘우거지’라고 한다. 먹을 게 넘치는 요즘은 무나 배추의 우거지를 버리기도 하지만, 먹을거리가 모자라던 시절에는 더없이 좋은 식료품이었다.

“긴 긴 겨울, 굶기를 밥 먹듯 하며 우거지국으로 가까스로 연명을 해 온 그들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어느 곳이나 식량 사정은 딱해. 우리 절에서도 쌀 몇 알을 넣은 우거지죽을 끓여 먹는 형편이니까.”(이병주, 〈지리산〉)
“우거지찌개하고 신김치만 있으면 밥이 마냥 꿀맛 같은 대식가였고 ….”(박완서,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이 ‘우거지’가 ‘국·찌개’를 끓이거나 ‘죽’을 쑤는 재료로 쓰이면서 ‘우거짓국’, ‘우거지찌개’, ‘우거지탕’, ‘우거지죽’이란 이름이 생겼는데, 국어사전에는 ‘우거지김치’ 정도만 올랐고 다른 음식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음식 재료는 대개 ‘국·탕·찌개·볶음’ 등의 재료가 되므로 관련된 말을 죄다 챙겨서 올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스파게티’나 ‘비프스테이크’ 같은 여러 외래 음식도 국어사전에 올리는 판에 ‘우거짓국, 우거지탕, 우거지죽, 우거지찌개, 우거지부침’ 같은 우리 일상 생활과 관련이 깊고, 많이 쓰이는 낱말들을 사전에 챙겨 올리지 않는 것은 문제다. 비슷한 말인 ‘시래기’의 경우, ‘시래깃국, 시래기나물, 시래기떡, 시래기죽, 시래기지짐이, 시래기찌개’들이 사전에 수록돼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8938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5624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0430
    read more
  4. 효시

    Date2007.10.08 By바람의종 Views13624
    Read More
  5. 떼부자

    Date2007.10.08 By바람의종 Views11859
    Read More
  6. 휘하

    Date2007.10.09 By바람의종 Views13552
    Read More
  7. 단소리/쓴소리

    Date2007.10.09 By바람의종 Views11728
    Read More
  8. 휴거

    Date2007.10.10 By바람의종 Views15355
    Read More
  9. 얼과 넋

    Date2007.10.10 By바람의종 Views8593
    Read More
  10. 희망

    Date2007.10.11 By바람의종 Views11269
    Read More
  11. ‘부럽다’의 방언형

    Date2007.10.11 By바람의종 Views9467
    Read More
  12. 감안하다

    Date2007.10.12 By바람의종 Views15267
    Read More
  13. 새말 만들기

    Date2007.10.12 By바람의종 Views7850
    Read More
  14. (공장)부지

    Date2007.10.13 By바람의종 Views7791
    Read More
  15. ‘우거지붙이’ 말

    Date2007.10.13 By바람의종 Views10738
    Read More
  16. 기라성

    Date2007.10.14 By바람의종 Views7635
    Read More
  17. 쉬다와 놀다

    Date2007.10.14 By바람의종 Views10375
    Read More
  18. 납득하다

    Date2007.10.16 By바람의종 Views9356
    Read More
  19. 방언은 모국어다

    Date2007.10.16 By바람의종 Views8972
    Read More
  20. 단수 정리

    Date2007.10.17 By바람의종 Views16350
    Read More
  21. 청소년의 새말

    Date2007.10.17 By바람의종 Views11322
    Read More
  22. 대합실

    Date2007.10.18 By바람의종 Views8914
    Read More
  23. 우리

    Date2007.10.18 By바람의종 Views9121
    Read More
  24. 수순

    Date2007.10.19 By바람의종 Views10391
    Read More
  25. 분루

    Date2007.10.19 By바람의종 Views1118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