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3 06:02

‘우거지붙이’ 말

조회 수 10717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거지붙이’ 말

‘푸성귀를 다듬을 때에 골라 놓은 겉대’를 ‘우거지’라고 한다. 먹을 게 넘치는 요즘은 무나 배추의 우거지를 버리기도 하지만, 먹을거리가 모자라던 시절에는 더없이 좋은 식료품이었다.

“긴 긴 겨울, 굶기를 밥 먹듯 하며 우거지국으로 가까스로 연명을 해 온 그들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어느 곳이나 식량 사정은 딱해. 우리 절에서도 쌀 몇 알을 넣은 우거지죽을 끓여 먹는 형편이니까.”(이병주, 〈지리산〉)
“우거지찌개하고 신김치만 있으면 밥이 마냥 꿀맛 같은 대식가였고 ….”(박완서,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이 ‘우거지’가 ‘국·찌개’를 끓이거나 ‘죽’을 쑤는 재료로 쓰이면서 ‘우거짓국’, ‘우거지찌개’, ‘우거지탕’, ‘우거지죽’이란 이름이 생겼는데, 국어사전에는 ‘우거지김치’ 정도만 올랐고 다른 음식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음식 재료는 대개 ‘국·탕·찌개·볶음’ 등의 재료가 되므로 관련된 말을 죄다 챙겨서 올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스파게티’나 ‘비프스테이크’ 같은 여러 외래 음식도 국어사전에 올리는 판에 ‘우거짓국, 우거지탕, 우거지죽, 우거지찌개, 우거지부침’ 같은 우리 일상 생활과 관련이 깊고, 많이 쓰이는 낱말들을 사전에 챙겨 올리지 않는 것은 문제다. 비슷한 말인 ‘시래기’의 경우, ‘시래깃국, 시래기나물, 시래기떡, 시래기죽, 시래기지짐이, 시래기찌개’들이 사전에 수록돼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3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869
2248 침착하고 명확하게 바람의종 2010.07.19 10013
2247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10010
2246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바람의종 2010.09.04 10004
2245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10003
2244 재원(才媛), 향년 바람의종 2009.05.30 10000
2243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10000
2242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96
2241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95
2240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9992
2239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989
2238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982
2237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78
2236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974
2235 어수룩하다와 어리숙하다 바람의종 2010.01.10 9971
2234 욕지거리. 욕지기 바람의종 2009.02.14 9971
2233 장사 잘돼? 바람의종 2008.06.11 9970
2232 깨치다, 깨우치다 바람의종 2009.05.24 9968
2231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962
2230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58
2229 끊을래야/끊으려야, 뗄래야/떼려야, 먹을래야/먹으려야 바람의종 2008.06.05 9955
2228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954
2227 예쁜 걸, 예쁜걸 바람의종 2009.07.31 99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