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3 06:02

‘우거지붙이’ 말

조회 수 10573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거지붙이’ 말

‘푸성귀를 다듬을 때에 골라 놓은 겉대’를 ‘우거지’라고 한다. 먹을 게 넘치는 요즘은 무나 배추의 우거지를 버리기도 하지만, 먹을거리가 모자라던 시절에는 더없이 좋은 식료품이었다.

“긴 긴 겨울, 굶기를 밥 먹듯 하며 우거지국으로 가까스로 연명을 해 온 그들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어느 곳이나 식량 사정은 딱해. 우리 절에서도 쌀 몇 알을 넣은 우거지죽을 끓여 먹는 형편이니까.”(이병주, 〈지리산〉)
“우거지찌개하고 신김치만 있으면 밥이 마냥 꿀맛 같은 대식가였고 ….”(박완서,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이 ‘우거지’가 ‘국·찌개’를 끓이거나 ‘죽’을 쑤는 재료로 쓰이면서 ‘우거짓국’, ‘우거지찌개’, ‘우거지탕’, ‘우거지죽’이란 이름이 생겼는데, 국어사전에는 ‘우거지김치’ 정도만 올랐고 다른 음식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음식 재료는 대개 ‘국·탕·찌개·볶음’ 등의 재료가 되므로 관련된 말을 죄다 챙겨서 올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스파게티’나 ‘비프스테이크’ 같은 여러 외래 음식도 국어사전에 올리는 판에 ‘우거짓국, 우거지탕, 우거지죽, 우거지찌개, 우거지부침’ 같은 우리 일상 생활과 관련이 깊고, 많이 쓰이는 낱말들을 사전에 챙겨 올리지 않는 것은 문제다. 비슷한 말인 ‘시래기’의 경우, ‘시래깃국, 시래기나물, 시래기떡, 시래기죽, 시래기지짐이, 시래기찌개’들이 사전에 수록돼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90
224 아니꼽다 風磬 2007.01.19 15001
223 획정, 확정 바람의종 2008.12.10 15001
222 으레, 으례, 의례 바람의종 2012.08.23 15021
221 홍일점 바람의종 2010.10.06 15065
220 '전(全), 총(總)'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7 15070
219 더위가 사그러들다 바람의종 2010.07.10 15109
218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121
217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151
216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152
215 금시에, 금세, 금새, 그새 바람의종 2010.03.13 15161
214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172
213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189
212 엔간하다. 웬만하다. 어지간하다. 어연간하다 바람의종 2010.08.17 15216
211 횡설수설 1 바람의종 2010.11.11 15251
210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309
209 여부, 유무 바람의종 2009.05.29 15318
208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320
207 아파, 아퍼 바람의종 2010.08.19 15346
206 홀씨 바람의종 2010.03.09 15365
205 덤탱이, 덤테기, 담타기, 덤터기 바람의종 2010.09.03 15389
204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95
203 그리고는, 그러고는 / 그리고 나서,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7.05 153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