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1 18:59

‘부럽다’의 방언형

조회 수 9172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럽다’의 방언형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는 “동네 사람들이 얼매나 불버라 하는지 아요?”에서처럼 형용사 ‘붋다'가 보인다. ‘불버라, 불버도’와 같이 쓰이는 이 말은 표준어 ‘부럽다’의 경남 방언이다. 〈한국방언자료집〉을 참고하여 정리해 보면, 경기도를 중심으로 ‘부럽다’가 쓰이고, 충청 방언과 전라 방언을 중심으로는 ‘불거도, 불거워도’처럼 ‘붉다’가 쓰이며, 경상 방언에서는 ‘불버도’와 같이 ‘붋다'가, 동사로는 ‘불버하다’가 쓰인다.

역사적으로 옛 문헌에서는 형용사 ‘븗다'와 ‘부럽다’가 두루 보인다. 이는 동사로 ‘블다’(羨)가 쓰이고 있는 것과 대조된다. 형용사 ‘부럽다’는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파생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형용사가 된 것이다.

전라도 지역에서 쓰이는 형용사 ‘불겁다’는 ‘불거워도, 불거뵌다’와 같이 쓰이는데, 이는 ‘붉다’에 다시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짜인 것이다. 경상도와 인접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불법다’는 ‘불버워도’와 같이 쓰이는데, 형용사 ‘붋다'에 다시 뒷가지 ‘-업’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결론적으로,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붙은 ‘부럽다’가 표준어로 쓰이고, 동시에 전라 방언에서는 ‘붉-’이 주된 기본형으로, 경상 방언에서는 ‘붋-’이 기본형으로 쓰인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말이 나누어지면서 지역에 따라 독특하게 쓰이는 고장말의 다양성과 상관성을 보여준다.

이태영/전북대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4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9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890
3260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1913
3259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864
3258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182
3257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510
3256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094
3255 학을 떼다 바람의종 2008.02.01 10552
3254 학여울 바람의종 2009.03.31 10527
3253 학부모 / 학부형 바람의종 2010.09.29 13931
3252 하지 말아라, 하지 마라 바람의종 2010.03.16 12372
3251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359
3250 하염없다 바람의종 2007.04.01 10921
3249 하여, 하였다 바람의종 2010.01.28 9331
3248 하모, 갯장어, 꼼장어, 아나고, 붕장어 바람의종 2010.07.19 18155
3247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333
3246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346
3245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593
3244 하룻강아지 바람의종 2010.03.22 12150
3243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602
3242 하락세로 치닫다 바람의종 2009.02.05 13199
3241 하더란대두 바람의종 2009.05.30 7178
3240 하늘말라리아? 바람의종 2008.04.27 8817
3239 하느라고, 하노라고 바람의종 2011.12.26 110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