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1 18:59

‘부럽다’의 방언형

조회 수 9350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럽다’의 방언형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는 “동네 사람들이 얼매나 불버라 하는지 아요?”에서처럼 형용사 ‘붋다'가 보인다. ‘불버라, 불버도’와 같이 쓰이는 이 말은 표준어 ‘부럽다’의 경남 방언이다. 〈한국방언자료집〉을 참고하여 정리해 보면, 경기도를 중심으로 ‘부럽다’가 쓰이고, 충청 방언과 전라 방언을 중심으로는 ‘불거도, 불거워도’처럼 ‘붉다’가 쓰이며, 경상 방언에서는 ‘불버도’와 같이 ‘붋다'가, 동사로는 ‘불버하다’가 쓰인다.

역사적으로 옛 문헌에서는 형용사 ‘븗다'와 ‘부럽다’가 두루 보인다. 이는 동사로 ‘블다’(羨)가 쓰이고 있는 것과 대조된다. 형용사 ‘부럽다’는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파생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형용사가 된 것이다.

전라도 지역에서 쓰이는 형용사 ‘불겁다’는 ‘불거워도, 불거뵌다’와 같이 쓰이는데, 이는 ‘붉다’에 다시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짜인 것이다. 경상도와 인접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불법다’는 ‘불버워도’와 같이 쓰이는데, 형용사 ‘붋다'에 다시 뒷가지 ‘-업’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결론적으로,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붙은 ‘부럽다’가 표준어로 쓰이고, 동시에 전라 방언에서는 ‘붉-’이 주된 기본형으로, 경상 방언에서는 ‘붋-’이 기본형으로 쓰인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말이 나누어지면서 지역에 따라 독특하게 쓰이는 고장말의 다양성과 상관성을 보여준다.

이태영/전북대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0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913
3106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202
3105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74
3104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53
3103 칼럼리스트 바람의종 2010.03.05 7505
3102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49
3101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62
3100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20
3099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64
3098 침착하고 명확하게 바람의종 2010.07.19 9999
3097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689
3096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21
3095 칠칠하다 바람의종 2010.07.12 10641
3094 칠칠하다 바람의종 2007.03.29 8186
3093 칠거지선(七去之善) 바람의종 2010.03.05 9456
3092 친구이다 바람의종 2011.11.20 11783
3091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1048
3090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20
3089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43
3088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73
3087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889
3086 충돌, 추돌 바람의종 2008.11.12 8025
3085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2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