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1 18:59

‘부럽다’의 방언형

조회 수 9375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럽다’의 방언형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는 “동네 사람들이 얼매나 불버라 하는지 아요?”에서처럼 형용사 ‘붋다'가 보인다. ‘불버라, 불버도’와 같이 쓰이는 이 말은 표준어 ‘부럽다’의 경남 방언이다. 〈한국방언자료집〉을 참고하여 정리해 보면, 경기도를 중심으로 ‘부럽다’가 쓰이고, 충청 방언과 전라 방언을 중심으로는 ‘불거도, 불거워도’처럼 ‘붉다’가 쓰이며, 경상 방언에서는 ‘불버도’와 같이 ‘붋다'가, 동사로는 ‘불버하다’가 쓰인다.

역사적으로 옛 문헌에서는 형용사 ‘븗다'와 ‘부럽다’가 두루 보인다. 이는 동사로 ‘블다’(羨)가 쓰이고 있는 것과 대조된다. 형용사 ‘부럽다’는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파생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형용사가 된 것이다.

전라도 지역에서 쓰이는 형용사 ‘불겁다’는 ‘불거워도, 불거뵌다’와 같이 쓰이는데, 이는 ‘붉다’에 다시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짜인 것이다. 경상도와 인접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불법다’는 ‘불버워도’와 같이 쓰이는데, 형용사 ‘붋다'에 다시 뒷가지 ‘-업’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결론적으로,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붙은 ‘부럽다’가 표준어로 쓰이고, 동시에 전라 방언에서는 ‘붉-’이 주된 기본형으로, 경상 방언에서는 ‘붋-’이 기본형으로 쓰인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말이 나누어지면서 지역에 따라 독특하게 쓰이는 고장말의 다양성과 상관성을 보여준다.

이태영/전북대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0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6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608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267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84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82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51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53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02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87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249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1005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815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63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45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946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99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887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96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124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92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840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56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994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8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