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9.26 11:07

언어의 가짓수

조회 수 12867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어의 가짓수

오늘날 세계에서 쓰이는 언어의 가짓수는 얼마나 될까? 언어학 책이나 백과사전을 살펴보면, 적게는 3천, 많게는 6천 언어로 들고 있어 제각각이다. 왜 이렇게 엄청난 숫자 차이가 날까? 그 까닭은 언어와 방언의 차이가 불분명한 데 있다.

방언이란 한 언어의 하위 부류로서 그 차이가 아무리 뚜렷하더라도 서로 뜻을 주고받는 것이 어려울 정도로는 크지 않다. 그러나 영어와 우리말, 우리말과 일본말처럼 서로 다른 언어는 그 차이가 너무 커서 두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뜻을 주고받는 게 불가능하다. 그래서 방언과 언어를 구별하는 기준으로 흔히 의사소통이 되느냐 안 되느냐로 꼽는다. 말 차이가 나는 두 지역 사람이 만나 의사소통이 되면 그 두 지역 말은 한 언어의 방언이며,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다면 별개의 언어가 된다.

이런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때도 있다. 한 언어에 드는 방언이면서도 소통이 안 되는 때가 있고, 두 나라 사람들이 서로 다른 자기 언어를 쓰면서도 소통이 되는 경우가 있다. 첫째 보기로는 중국어를 들 수 있다. 표준 중국어인 베이징 방언과 남쪽의 광둥 방언은 같은 중국말이면서도 서로 의사소통이 안 될 정도다. 둘째 보기로는 북유럽의 스웨덴·노르웨이·덴마크 언어를 들 수 있다. 독자적 특징을 가진 별개 언어들인데 이 세 나라 사람들은 서로 제나라 말을 쓰면서 자유롭게 의사를 통한다. 이런 사정으로 세계 언어의 가짓수를 정확하게 말하기가 어렵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43
334 칼럼리스트 바람의종 2010.03.05 7496
333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17
332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52
331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176
330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7970
329 커브길 바람의종 2010.01.19 8379
328 커피샵 바람의종 2010.10.04 11696
327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534
326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78
325 코펠 바람의종 2010.03.03 12508
324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325
323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510
322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852
321 쿠사리 바람의종 2010.04.26 12046
320 쿠사리 바람의종 2008.02.19 10955
319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385
318 쿨 비즈 바람의종 2010.05.07 10746
317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351
316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35
315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181
314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896
313 큰 소리, 간장하다 風文 2022.10.04 16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