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9.26 11:07

언어의 가짓수

조회 수 12901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어의 가짓수

오늘날 세계에서 쓰이는 언어의 가짓수는 얼마나 될까? 언어학 책이나 백과사전을 살펴보면, 적게는 3천, 많게는 6천 언어로 들고 있어 제각각이다. 왜 이렇게 엄청난 숫자 차이가 날까? 그 까닭은 언어와 방언의 차이가 불분명한 데 있다.

방언이란 한 언어의 하위 부류로서 그 차이가 아무리 뚜렷하더라도 서로 뜻을 주고받는 것이 어려울 정도로는 크지 않다. 그러나 영어와 우리말, 우리말과 일본말처럼 서로 다른 언어는 그 차이가 너무 커서 두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뜻을 주고받는 게 불가능하다. 그래서 방언과 언어를 구별하는 기준으로 흔히 의사소통이 되느냐 안 되느냐로 꼽는다. 말 차이가 나는 두 지역 사람이 만나 의사소통이 되면 그 두 지역 말은 한 언어의 방언이며,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다면 별개의 언어가 된다.

이런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때도 있다. 한 언어에 드는 방언이면서도 소통이 안 되는 때가 있고, 두 나라 사람들이 서로 다른 자기 언어를 쓰면서도 소통이 되는 경우가 있다. 첫째 보기로는 중국어를 들 수 있다. 표준 중국어인 베이징 방언과 남쪽의 광둥 방언은 같은 중국말이면서도 서로 의사소통이 안 될 정도다. 둘째 보기로는 북유럽의 스웨덴·노르웨이·덴마크 언어를 들 수 있다. 독자적 특징을 가진 별개 언어들인데 이 세 나라 사람들은 서로 제나라 말을 쓰면서 자유롭게 의사를 통한다. 이런 사정으로 세계 언어의 가짓수를 정확하게 말하기가 어렵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0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64
1126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579
1125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607
1124 억수 바람의종 2007.12.31 6785
1123 억수 風磬 2007.01.19 8767
1122 억수로 가찹데이! 바람의종 2010.04.23 11832
1121 억수로 기찹데이! file 바람의종 2010.05.06 10277
1120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3
1119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38
1118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9.08.02 10538
1117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81
1116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794
1115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55
1114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967
1113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302
1112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204
1111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397
1110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1031
1109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35
1108 언어로 성형수술을 / 위계질서와 개인정보 風文 2020.07.09 2186
1107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35
»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901
1105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2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