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배꼽티를 입은 문화 -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2. 나폴레옹은 검은 고양이를 싫어했다.


      살아남기 위해 시작된 마스카라

  '불길한 눈초리', '그 눈에 직시 당하면 끝장이다', '응시 당하면 죽는다', '노려보면 화가 찾아온다' 등등. 이것은 세계적으로 믿어온 미신의 하나인 사팔뜨기를 표현하는 상투적 문구다. 사팔뜨기의 미신은 옛날부터 거의 모든 나라에 있었다. 고대 로마에는 사팔눈을 가진 직업 마술사가 있어서, 자신의 적에게 마법을 걸기를 원하는 사람에게 고용되었다고 한다. 집시는 누구나 사팔이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인도나 근동제국에서도 사팔뜨기의 미신이 널리 퍼지고 두려움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중세가 되자 유럽인은 사팔뜨기의 재난이 찾아오는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조금이라도 이상한 눈초리, 무엇에 씌운 것 같은 눈매라든가 사팔뜨기 비슷한 눈을 한 인간을 발견하면, 당장 사팔눈을 가진 사람이라고 단정하고 누구를 막론하고 화형에 처하려 했다. 그래서 백내장 같은 것에 걸리면 그야말로 큰일이었다. 이처럼 여기저기서 사팔뜨기의 미신이 생겨난 것은 도대체 어찌된 영문일까.
  민속학자 사이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눈동자의 반사설이다. 누군가의 눈동자를 들여다보라. 그 검은 눈동자에 자신의 모습이 조그맣게 비쳐져 있는 것이 보일 것이다. 실제로 동공(pupil)이라는 말은 '조그만 인형'을 뜻하는 라틴어인 푸필라(pupilla)에서 유래했다. 옛날 사람들은 자신의 모습이 작아져서 상대의 눈 속에 있는 것을 발견하고 꽤나 놀라고 의아해 했을 것이다. 이것을 보고 고대인이 자신의 몸이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하더라도 이상할 것이 없다. 자신의 혼이 영구히 상대의 눈 속에 갇혀져 버렸다, 상대의 사악한 눈에 의해서 도둑맞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이 사고방식은 바로 1세기 전까지 아프리카의 어떤 원시 부족 사이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 그들은 사진에 찍히면 영구히 혼을 잃어버린다고 굳게 믿고 있었다. 그런데 고대 이집트인들은 이 사팔뜨기의 사악한 힘을 없애기 위해서 이상한 물건을 사용하고 있었다. '코르'라는, 말하자면 인류 최초의 마스카라다. 이것을 여자뿐만 아니라 남자도 준 가장자리에 둥글게 또는 타원형으로 칠했다. 코르는 안티몬 가루로 만들었는데, 남자들 것은 예언자가 만들었으나 여자들은 안티몬에 비밀 재료를 적당히 넣어서 독자적인 코르를 만들었다. 그렇다면 왜 눈 주위에 화장을 하면 사팔뜨기에 대항할 수 있다고 생각했을까. 오늘날 확실하게 알 수는 없으나 눈 주위에 칠한 검은색이 태양 빛을 흡수함으로써 눈 속에 들어가는 반사광이 적어졌으리라는 것은 생각할 수가 있다. 이 효과는 미식축구 선수나 야구 선수들의 경우에서 익히 알고 있는 바다. 고대 이집트인은 사막의 강렬한 태양 밑에서 우연히 이 효과를 깨달았는지도 모른다.
  어쨌든 이 화장의 본래 목적은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팔뜨기로부터 자신들의 몸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1. 황석영 - 5.18강의

  2.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3. 가기 전

  4.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5. No Image 23Jan
    by 바람의종
    2012/01/23 by 바람의종
    Views 4815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5. 바지 때문에 탄생한 옷은?

  6.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12/01/19 by 바람의종
    Views 4136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5. 여성들의 저항의 상징, 바지

  7. No Image 08Jan
    by 바람의종
    2012/01/08 by 바람의종
    Views 3543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5. 파리의 비키니 수영복 대회

  8. No Image 07Jan
    by 바람의종
    2012/01/07 by 바람의종
    Views 3399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5. 스칼렛은 배꼽티를 좋아했다?

  9. No Image 07Jan
    by 바람의종
    2012/01/07 by 바람의종
    Views 4126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4. 인류 최초의 거울은?

  10. No Image 02Jan
    by 바람의종
    2012/01/02 by 바람의종
    Views 3803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4. 피부미용제는 무엇으로 만들었을까?

  11. No Image 28Dec
    by 바람의종
    2011/12/28 by 바람의종
    Views 2834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4. 고대전사들은 전투를 앞두고 매니큐어를 발랐다.

  12. No Image 27Dec
    by 바람의종
    2011/12/27 by 바람의종
    Views 18088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4. 향수의 원료는 무엇일까?

  13. No Image 26Dec
    by 바람의종
    2011/12/26 by 바람의종
    Views 3909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4. 멋쟁이의 필수품, 생선 등뼈

  14. No Image 23Dec
    by 바람의종
    2011/12/23 by 바람의종
    Views 3022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4. 금지 1호였던 가발

  15. No Image 22Dec
    by 바람의종
    2011/12/22 by 바람의종
    Views 3351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4. 염색은 남자들이 즐겨했다

  16. No Image 21Dec
    by 바람의종
    2011/12/21 by 바람의종
    Views 3649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4. 아름다워지기 위해서라면 죽음까지도 불사한 여성들

  17. No Image 13Dec
    by 바람의종
    2011/12/13 by 바람의종
    Views 4369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4. 예쁜 남자, 야한 남자

  18. No Image 12Dec
    by 바람의종
    2011/12/12 by 바람의종
    Views 3271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4. 고대엔 남성들도 립스틱을 발랐다.

  19. No Image 05Dec
    by 바람의종
    2011/12/05 by 바람의종
    Views 3994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3. 무섭기만 했던 어린이 책

  20. No Image 04Dec
    by 바람의종
    2011/12/04 by 바람의종
    Views 3491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3. 드라큘라의 모델은?

  21. No Image 30Nov
    by 바람의종
    2011/11/30 by 바람의종
    Views 3007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3. 히틀러 때문에 외면 당한 '헨젤과 그레텔'

  22. No Image 28Nov
    by 바람의종
    2011/11/28 by 바람의종
    Views 3513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3. 뛰어난 사기꾼, 장화 신은 고양이

  23. No Image 27Nov
    by 바람의종
    2011/11/27 by 바람의종
    Views 4007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3. 진짜 신데렐라는?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