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72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배꼽티를 입은 문화 -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2. 나폴레옹은 검은 고양이를 싫어했다.


      고양이의 목숨은 9개다

  검은 고양이가 앞길을 가로질러 가면 불길하다는 미신은 미신치고는 좀 새롭다. 까마득한 옛날, 기원전 3000년쯤 이집트에서 고양이를 기르기 시작했을 무렵에는, 고양이는 숭배받는 동물이었다. 물론 검은 고양이까지도 모두 숭배의 대상이었으며 고양이를 해치거나 죽이거나 하면 법을 어겼다 하여 처벌받았다. 고양이 숭배는 절대적이었으며, 집에서 기르던 고양이가 죽기라도 하면 온 가족이 상복을 입고, 부자나 가난한 집 할 것 없이 그 시체를 썩지 않도록 처리한 다음에 고급 린넨 천으로 감싸고, 값비싼 청동제나 목제 관에 안치했다. 나무가 귀한 이집트에서는 나무관 값이 매우 비쌌다. 고고학자에 의해서 발굴된 고양이들의 묘지에는 검은 고양이의 미라도 많이 있다.
  이집트인은 고양이가 높은 곳에서 몇 번씩 떨어져도 상처 하나 입지 않는 것을 보고 고양이에게는 아홉 개의 목숨이 있다고 믿었다.
  고양의 인기는 아주 빠르게 다른 문화권으로 퍼져나갔다. 2000년 전에 범어로 쓰여진 책에는 그 당시 인도 사회에서의 고양이의 역할이 기록되어 있으며, 기원전 500년 중국에서는 공자가 고양이를 애완동물로서 귀여워했다고 전해진다. 또 600년경 예언자 마호메트는 고양이를 팔에 안고 설교를 했다고 하며, 그 무렵 일본에서도 성스러운 경전을 쥐가 갉아먹는 것을 막기 위해서 고양이를 절 안에서 기르기 시작한 것 같다. 이 시대에는 고양이가 앞을 가로질러 가면 그것은 틀림없는 길조였다.
  고양이, 그 중에서도 검은 고양이를 유럽 사람들이 혐오하기 시작한 것은 중세에 들어서면서부터다. 영국에서는 특히 심했다. 그 무렵 대도시에서 고양이 수가 급격히 늘어났던 탓도 있었지만 속박을 싫어하고 말을 잘 안 들으며 소리도 없이 걸어다닌다는 고양이 특유의 성질이 고양이의 지위를 떨어뜨렸다. 떠돌아다니는 도둑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는 사람들로는 으레 가난하고 의지할 곳 없는 할머니를 떠올렸는데 유럽에서 마녀 소동이 일어나자 흑색 마술을 부리고 있다고 해서 제일 먼저 의심을 받은 것이 바로 집 없는 할머니들이었다. 그리고 할머니들의 친구인 고양이도(특히 검은 고양이는) 마녀의 공범자로서 생포 당했다. 고양이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감정을 잘 나타내주는 다음과 같은 영국 전설이 있다.
  1560년대 잉글랜드 동부의 링컨셔에서의 일이다. 달도 없이 캄캄한 어느날 밤, 시내에서 서둘러 길을 가던 부자는 뭔가 작은 동물이 눈앞을 재빨리 가로질러 가기에 깜짝 놀랐다. 그 동물이 좁은 곳으로 뛰어들어가는 것을 보고 돌을 던졌더니 상처 입은 검은 고양이가 황급히 뛰어나와서 근처에 있는 어떤 집으로 다리를 절룩거리면서 도망쳐 들어가는 것이 보였다. 고양이가 도망친 곳은 평소에 거리 사람들이 마녀가 살고 있다고 수군덕거리는 집이었다. 그 이튿날이었다. 부자가 길을 걷고 있으려니까 맞은편에서 문제의 여자가 다가왔다. 얼굴은 상처투성이고, 팔에는 붕대를 감고 더구나 다리를 절룩거리는 것이 아닌가. 그날부터 링컨셔에서는 검은 고양이는 모두 마녀가 밤에 변장한 모습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받게 되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훗날에까지 계속 전해져 미국에서 세일럼의 마녀 사냥이 있었을 때도 마녀가 거리를 떠돌아다닐 때에는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도록 검은 고양이로 둔갑한다고 사람들은 믿고 있었다. 이렇게 해서 한때 그처럼 숭배 받고 소중히 여겨지던 고양이가 지금은 두렵고 혐오스런 존재로 변해 버렸다.
  중세 말기에는 유럽의 모든 나라에서 고양이가 절멸의 위기에 빠졌다. 마녀에 대한 공포는 이상하리만치 높아지고, 많은 무고한 여자가 무고한 애완동물과 함께 화형 당했다. 어떤 갓난애는 눈빛이 이상하고 얼굴이 교활해 보여 갓난애답지 않다는 이유로 희생되었다. 장차 악령이 달라붙어서 낮에는 마녀, 밤에는 검은 고양이로 둔갑할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프랑스에서는 1630년대에 들어서서 루이 13세가 이 수치스러운 행위를 금지시킬 때까지, 매달 수천 마리의 고양이가 불에 타 죽었다고 한다. 검은 고양이는 전 유럽에서 몇 세기에 걸쳐서 계속 학살당했다. 그래도 검은 고양이가 사라지지 않고,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는 것은 참으로 놀랄 만한 일이다. 고양이의 목숨이 정말로 아홉 개가 있다면 얘기는 또 다르지만.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9536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40021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42374
공지 동영상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風文 2019.06.20 4703
1056 좋은글 칭찬은 평생을 기쁘게해 줘요 바람의종 2012.07.18 29571
1055 신비로운 태양 플레어 현상 바람의종 2012.07.13 42499
1054 다녀갑니다 1 성호 2012.07.07 27204
1053 그날 진돗개가 목줄을 끊고 도망가버렸다 얼마나 무서웠으면…” 바람의종 2012.05.11 31137
1052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한 애처가의 발명품 8 바람의종 2012.05.08 15008
1051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바셀린 사나이 7 바람의종 2012.05.04 16101
1050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죄를 씻으면 병도 낫는다 9 바람의종 2012.05.03 19849
1049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마리 앙투아네트와 패션 민주화 6 바람의종 2012.05.02 13772
1048 "해군기지 문정현 신부 퇴원후 폭행당해" 논란 바람의종 2012.04.27 34179
1047 제7회 복숭아문학상 공모 임지연 2012.04.26 23111
1046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평생을 조롱 당하며 우산을 보급한 사람 5 바람의종 2012.04.23 13671
1045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부채는 계급의 상징 13 바람의종 2012.04.20 14245
1044 좋은글 우리말 5적: 정부 관리 언론 기업 학자 바람의종 2012.04.20 28052
1043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중세의 고문도구로 보였던 지퍼 8 바람의종 2012.04.19 15365
1042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누군가가 채워 주어야만 좋은 여성의 단추 바람의종 2012.03.27 8180
1041 “국책사업 반대한다고 성직자를 구속하다니” 바람의종 2012.03.12 34811
1040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하이힐을 즐겨 신은 남자 바람의종 2012.03.05 8914
1039 좋은글 팔목 그어대던 여고생을 ‘고흐’로 꽃피운 수녀님 바람의종 2012.03.03 31804
1038 그림사진 풍경 61~70 바람의종 2012.03.02 346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