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82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배꼽티를 입은 문화 -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2. 나폴레옹은 검은 고양이를 싫어했다.


     비오는 날에만 돈을 건다

  나폴레옹은 검은 고양이를 싫어했고, 소크라테스는 사팔뜨기를 무서워했다. 줄리어스 시저는 꿈을 두려워했고, 헨리 8세는 앤 블린과의 결혼을 마술에 홀린 탓으로 돌렸다. 표트르 대제는 다리를 건너는 것을 병적으로 싫어했고, 새뮤얼 존슨은 건물에 들어 갈 때나 나올 때 반드시 오른발을 먼저 내디뎠다.

  미신이란 애당초 불합리한 것이다. 교육이 널리 보급되고 과학이 진보했는데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 이상하다면 이상한 일이다. 오늘날 고도로 발달한 문명사회에 살고 있으면서도 우리들은 한두 가지, 또는 그보다 더 많이 미신을 믿고 있다. 미국에서 매일 수만 장의 복권이 단지 그 사람의 행운의 숫자라고 하는 이유만으로 팔려나간다. 미신을 믿는 것은 우리들의 마음 속에 부조리한 부분이 남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고고학자들의 말에 따르면, 처음으로 미신이라는 것이 생겨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5만 년 전, 서아시아 일대에 살고 있던 네안데르탈인에게서부터라고 한다. 그들은 사후의 세계를 믿은 최초의 인류였다. 선대의 인류는 시체를 그냥 버렸으나, 네안데르탈인은 의식을 행한 뒤 시체를 매장했고, 저 세상에서 사용할 식량과 무기 그리고 불을 일으키는 숯을 시체와 함께 묻었다.

  영혼이 있다고 믿는 것과 미신은 동시에 생긴 것이라 해도 별로 이상할 것은 없다. 역사를 통해서 어떤 사람에게는 종교인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미신에 지나지 않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 신자였던 콘스탄티누스 황제에게 이교는 괘씸한 미신이었으나, 이교도 정치가인 타키투스에게는 기독교야말로 해롭고 불합리하기 짝이 없는 미신이었다. 개신교 쪽에서 보면 카톨릭의 성자나 성물 신앙은 미신이며, 기독교도의 관점에서 힌두교는 미신으로 넘쳐흐르고 있다. 무신론자들이 보면 모든 종교의 계율은 미신이다.

  왜 네잎 클로버를 찾은 것은 행운이고, 거울을 깨뜨리는 것은 불길한가? 지금에 와서 논리적인 근거는 전혀 없다. 그러나 본래 어떤 미신에도 그렇게 여기게 된 이유와 배경은 있다. 미신은 직접적인 체험에서부터 생겨난다. 자연의 법칙을 몰랐던 고대인은 갖가지 자연현상, 즉 번개나 천둥, 일식, 월식, 탄생이나 죽음을 도저히 이해하지 못해 눈에 보이지 않는 영혼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즉 그들은 동물이 육감으로 위험을 알아차리는 것도 틀림없이 영혼이 동물들에게 경고하기 때문이며, 씨앗에서 싹이 돋아나고, 올챙이가 개구리가 되는 기적도 저 세상의 영혼이 부리는 조화라고 여겼다. 또한 그들을 온갖 고난에 찬 생활을 겪으면서 아무래도 주위에는 선한 영혼보다는 악한 영혼이 훨씬 더 많다고 생각했다. 미신 속에 사악한 영혼으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한 방법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악령이 날뛰는 세계로부터 몸을 지키고, 영문을 알 수 없는 이 세상에서 조금이라도 자신의 의지를 지켜보려고 옛날 사람들은 동짓날에 팥죽을 끓여 귀신을 쫓고, 부적을 써서 신의 가호를 빌며, 네잎 클로버를 찾아서 행운을 빌었다. 어떤 것을 실험해서 효과가 없으면 다른 것, 그것이 안 되면 또 다른 것 하는 식으로 차례차례 부적을 만들어 나간 것이다. 이렇게 해서 자기 주변에 있는 갖가지 물건이나 동작, 말이 특별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어떻게 보면 오늘날 우리들도 그와 같은 행동을 하고 있다. 몽당연필로 답을 써서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은 그 연필을 행운의 연필로 여기며, 비오는 날에 경마를 해서 큰 돈을 딴 사람은 다음에도 다시 비오는 날에 돈을 걸려고 한다. 사람들은 이렇게 해서 아무 것도 아닌 일을 특별한 것으로 만든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 있는 물건이나 몸짓들 중에는 미신이 아닌 것이 거의 없다. 어느 나라의 누군가가 반드시 미신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마을 어귀의 나무, 마늘, 사과, 거울, 우산, 딸꾹질, 돌에 걸려 넘어지는 것, 다리를 떠는 것, 댕기, 무지개... 등등이 그렇다. 과거에 불가사의했던 현상들은 대부분 오늘날 과학적으로 해명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들의 일상에서 예측할 수 없는 사태가 모두 사라져 버린 것은 아니다. 불행이 닥치면 미신에 눈이 간다. 전혀 원인을 알 수 없는 불행을 미신이 설명해주기 때문이다. 사업이 잘 되기를 바란다든지 시험에 합격하기를 바랄 때도 미신에 마음이 간다. 사람의 힘이 미치지 않는 행운을 비는 셈이다.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8954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37318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39702
공지 동영상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update 風文 2019.06.20 4289
1036 내 침대를 찾아서 바람의종 2012.03.02 27390
1035 그림사진 풍경 51~60 바람의종 2012.02.29 38162
1034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5. 모자와 가발의 경쟁사 바람의종 2012.02.28 8487
1033 좋은글 ‘독서의 해’에 해야 할 다섯가지 바람의종 2012.02.28 29922
1032 그림사진 주차 힘들죠? 교본 드립니다. 바람의종 2012.02.17 39606
1031 짧게 만드는 법 바람의종 2012.02.17 21922
1030 버스번호의 비밀 바람의종 2012.02.12 37525
1029 내일을 보는 눈 바람의종 2012.02.03 27555
1028 그림사진 풍경 41~50 바람의종 2012.02.01 36105
1027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5. 옛날엔 코를 풀고 어떻게 처치했는가? 바람의종 2012.02.01 4099
1026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5. 턱시도의 어원은 '늑대' 바람의종 2012.01.24 4652
1025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5. 바지 때문에 탄생한 옷은? 바람의종 2012.01.23 4847
1024 두 갈래 길 바람의종 2012.01.20 27137
1023 잠에 좋은 음식4 Vs 나쁜 음식4 바람의종 2012.01.19 29477
1022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5. 여성들의 저항의 상징, 바지 바람의종 2012.01.19 4192
1021 [re] "수녀 18명 무차별 연행, 정부가 직접 사과해야" 바람의종 2012.01.17 26526
1020 [re] “해군기지 수녀들 연행, 독재때도 없던 행태” 바람의종 2012.01.17 28368
1019 “수도복 입고 기도 중인 수녀 연행…독재 때도 없던 일” 바람의종 2012.01.16 30765
1018 그림사진 풍경 31~40 바람의종 2012.01.14 362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