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배꼽티를 입은 문화 -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1. 약탈혼이 정당하던 시절

      신의 머리에 떨어지는 새똥을 막아라

  기독교 회화에서 몇 세기 동안 그려진 성인 등의 머리 주위에 나타나 있는 둥근 바퀴 모양의 찬란한 빛, 즉 후광은 원래 기독교의 상징이 아니라 이교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이 후광은 왕관의 기원이기도 하다. 아주 먼 옛날부터 사람들은 신을 그릴 때 대개 머리 주위에 후광을 그렸다. 고대 인도, 그리스, 로마의 그림 속 신의 머리에는 모두 후광이 그려져 있다. 고대의 왕들은 신과 자신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자기를 신격화하기 위해 이 후광을 자기 머리에 붙이는 것을 생각해냈다. 그것이 바로 깃털이나 보석, 금으로 만든 관이다. 로마의 역대 황제는 신성시되었기 때문에 관을 쓰지 않고 사람들 앞에 모습을 나타내는 일은 좀처럼 없었다. 예수를 박해하는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머리에 가시관을 씌운 것은 신의 나라 왕이라고 말한 그를 조롱한 것이었다. 그런데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이교의 상징이 그리스도 교회의 중요한 상징이 되어버렸다. 초기 카톨릭 교회의 신부들은 후광이 원래 이교의 상징이었음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처음 한동안은 종교 화가에게 가능한 한 이것을 그리지 말도록 하였다. 그렇지만 삽화가 들어 있는 중세 때 책을 보면 이것이 모두 지켜지고 있었던 것은 아닌 듯하다.

  역사가에 따르면 그리스도 교회가 처음 후광을 받아들인 것은 7세기 때라고 한다. 애초에 그것은 실용적인 의미에서 시작되었다. 그것은 바로 우산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즉 바깥에 있는 성인의 동상이 비나 새똥을 맞지 않게 하고 녹스는 것을 막기 위해 그 머리에 나무나 놋쇠로 만든 접시를 얹었던 것이다. 그 접시는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렸는데 처음에는 후광(halo)이라고는 불리지 않았다. 어원학자는 할로라고 하는 말은 이교의 신이나 기독교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고 한다. 할로는 그리스도 탄생보다 천년 이상이나 앞선 농민들이 탈곡하는 방식이었다. 그 당시의 농민들은 탈곡할 때 우선 곡식 다발을 딱딱한 땅위에 산더미처럼 쌓아올려 그 위를 몇 마리의 소로 하여금 걸어다니도록 하였다. 소가 한가운데서 차츰 원을 그리며 걸었으므로 탈곡 후에는 원형이 되었다. 이것을 그리스인들은 원형 탈곡법, 즉 할로스라고 말하였다. 16세기 와서 천문학자는 천체 주위에 보이는 무리를 후광이라고 불렀고 또한 신학자는 성인의 머리 위에 있는 동그란 모양의 광채를 가리켜 이 말을 사용하게 되었다.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9600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42810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45071
공지 동영상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風文 2019.06.20 4824
1056 좋은글 칭찬은 평생을 기쁘게해 줘요 바람의종 2012.07.18 29686
1055 신비로운 태양 플레어 현상 바람의종 2012.07.13 42611
1054 다녀갑니다 1 성호 2012.07.07 27346
1053 그날 진돗개가 목줄을 끊고 도망가버렸다 얼마나 무서웠으면…” 바람의종 2012.05.11 31169
1052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한 애처가의 발명품 8 바람의종 2012.05.08 15052
1051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바셀린 사나이 7 바람의종 2012.05.04 16116
1050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죄를 씻으면 병도 낫는다 9 바람의종 2012.05.03 19872
1049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마리 앙투아네트와 패션 민주화 6 바람의종 2012.05.02 13863
1048 "해군기지 문정현 신부 퇴원후 폭행당해" 논란 바람의종 2012.04.27 34344
1047 제7회 복숭아문학상 공모 임지연 2012.04.26 23166
1046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평생을 조롱 당하며 우산을 보급한 사람 5 바람의종 2012.04.23 13747
1045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부채는 계급의 상징 13 바람의종 2012.04.20 14346
1044 좋은글 우리말 5적: 정부 관리 언론 기업 학자 바람의종 2012.04.20 28168
1043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중세의 고문도구로 보였던 지퍼 8 바람의종 2012.04.19 15474
1042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누군가가 채워 주어야만 좋은 여성의 단추 바람의종 2012.03.27 8228
1041 “국책사업 반대한다고 성직자를 구속하다니” 바람의종 2012.03.12 34838
1040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6. 하이힐을 즐겨 신은 남자 바람의종 2012.03.05 9016
1039 좋은글 팔목 그어대던 여고생을 ‘고흐’로 꽃피운 수녀님 바람의종 2012.03.03 31874
1038 그림사진 풍경 61~70 바람의종 2012.03.02 347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