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308 추천 수 2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배꼽티를 입은 문화 -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1. 약탈혼이 정당하던 시절

      웨딩드레스의 색깔 논쟁

  하얀색은 청정과 순결을 나타내는 색깔이다. 그러나 고대 로마에서는 신부가 노란색 드레스를 입고 머리에는 노란 베일을 썼다. 사실 신부가 쓰는 베일은 웨딩드레스보다 역사가 오래 되었다. 그리고 베일은 신부가 쓰기 훨씬 이전부터 있었다. 복식사가들에 의하면 베일은 남자가 만들어낸 것이라고 한다. 그것은 여성을 종속적인 지위에 두고 다른 사내의 눈으로부터 숨겨두기 위해서 고안된 물건이다. 그 긴 역사 속에서 고상함과 아름다움의 상징이 되거나 비밀리에 정을 통한다든가 상을 당한 것을 나타내왔던 베일은 여성의 몸에 걸치는 물건이면서도 여성에 의해서 만들어지지 않은 유일한 의상 용품이다. 동양에서는 베일이 적어도 4000년 전에 이미 사용되고 있었다. 결혼하지 않은 여자는 얌전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결혼한 여자는 남편에 대한 순종을 나타내기 위해 베일로 얼굴을 가렸다. 이슬람 사회에서 여성은 집에서 한 발짝이라도 나갈 때에는 반드시 머리와 얼굴의 일부를 덮어야 했다. 남자가 만든 이 계율은 더욱 엄격해져서 눈을 제외한 모든 것을 가려야만 했다. 눈을 내놓은 것은 당시의 베일이 두꺼운 천이어서 푹 뒤집어쓰면 전혀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면 북유럽의 여러 나라에는 그런 관습은 없었다. 여기서 베일을 쓴 것은 약탈된 신부뿐이었다. 이 베일은 색깔과는 상관없이 얼굴을 가릴 수만 있으면 족했다. 기원전 4세기에는 그리스인과 로마인들 사이에서 결혼식 때 얇고 환히 비치는 베일을 쓰는 것이 유행하였다. 신부는 베일을 핀으로 머리카락에 고정시키거나 머리에 잡아맸다. 당시는 드레스, 베일 모두 노란색이 유행이었다. 중세에 들어서자 사람들은 색보다는 천의 재질이나 레이스와 같은 장식을 중시했다. 영국과 프랑스에서 하얀 웨딩드레스가 처음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이다. 그러나 이 하얀 웨딩드레스는 '하얀색은 신부의 순결을 나타낸다'는 말의 노골적인 표현이어서 환영받지 못했다. 반면에 목사들은 신부의 순결은 당연한 일이며 새삼스럽게 떠들썩하게 말할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후 150년 동안 영국의 신문과 잡지들은 하얀 웨딩드레스를 둘러싸고 뜨거운 논쟁을 벌였다. 그러나 18세기 말경에 와서는 하얀 웨딩드레스가 일반화되었다. 복식사가에 의하면 그것은 당시 팔리고 있던 정장용 드레스가 거의 하얀색이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쨌든 1813년, 프랑스의 인기 있는 여성지 "저널 드 다메"에 커다란 순백의 웨딩드레스 삽화가 실린 이래 하얀색은 웨딩드레스 색깔로 정착되었다.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9587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41778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44135
공지 동영상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風文 2019.06.20 4774
1854 그림사진 풍경 51~60 바람의종 2012.02.29 38321
1853 그림사진 [이수동의 그림 다락방] 산들바람 바람의종 2010.03.19 38024
1852 그림사진 나누는 마음 바람의종 2010.09.13 37803
1851 "이태석 신부 데려간 하느님 더는 원망 안 해요" 바람의종 2011.06.01 37788
1850 펜뉴스 창간 1 펜뉴스 2006.12.28 37736
1849 버스번호의 비밀 바람의종 2012.02.12 37648
1848 좋은글 삶을 아름답게 하는 메세지 바람의종 2012.07.18 37539
1847 문학 소년은 아니지만..... 4 홍당무 2008.05.28 37356
1846 그림사진 풍경 1~20 바람의종 2012.01.09 37079
1845 그림사진 풍경 21~30 바람의종 2012.01.13 37056
1844 임진왜란 때 경복궁을 불태운 건 백성들이다? 바람의종 2011.11.23 36561
1843 좋은글 할아버지의 간장 바람의종 2010.04.10 36518
1842 그림사진 풍경 31~40 바람의종 2012.01.14 36454
1841 좋은글 [이수동의 그림 다락방] 늘봄 사랑 바람의종 2010.03.26 36383
1840 그림사진 풍경 41~50 바람의종 2012.02.01 36333
1839 명성황후 친필편지 경매 나왔다 바람의종 2009.10.27 36204
1838 생명의 강 지키기 예술행동이 조계사에서 진행중입니다. 바람의종 2010.05.31 36039
1837 그림사진 꽃 61~80 바람의종 2012.01.01 35987
1836 좋은글 사랑 바람의종 2010.05.07 356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