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931 추천 수 2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절벽을 깎아 만든 페트라의 무덤

  매우 희귀한 건축 방법으로 만들어진 무덤이 있는 고대 도시 페트라는 오랜 세월에 걸친 붉은 모래 폭풍에 의하여 형성된 높은 절벽들로 둘러싸인, 남부 요르단의 깊은 계곡에 숨겨져 있다. 이 특수한 지리 조건 때문에 오랫동안 외부 세계에 그 존재가 알려지지 않고 있던 이 도시가 1812년, 탐험가들에 의하여 발견되자 온 세계는 절벽을 깎아 만든 수많은 분홍색 무덤 건물의 모습에 경탄을 금치 못하였다. 기원전 4세기경 로마에 의하여 점령된 이래, 로마 군들의 전초 기지로 이용되어 오던 페트라 시는 점차 낙타상들의 교역 중심지 또는 회교도들의 전략 기지로 이용되었으며 기독교 박해 당시에는 기독교 저항 세력의 보루가 되기도 하였다. 깎아 세운 듯이 높은 절벽으로 둘러싸인 계곡의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는 천연적이 요새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이 도시에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절벽 사이에 난 좁은 길 뿐인데, 이 길은 어찌나 좁은지 사람이 서서 양팔을 벌리면 두 손이 모두 절벽에 닿을 정도이다. 아무리 많은 군사가 쳐들어와도 10명 정도의 군사가 이 길목만 지키면 도시는 충분히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수세기를 통하여 페트라 시에 살고 있던 부유한 상인들은 인근 도시들과 견줄 만한 훌륭한 신전과 무덤을 건축하기를 원하였지만 입로가 너무 좁아 이런 건축 자재들을 외부로부터 들여올 수 없는 문제점에 부딪히자 페트라의 통치자들이나 상인들은 그 대신 절벽은 깎아 만드는 희한한 건축 방식을 생각해냈던 것이다. 결국 세기의 걸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건물이 탄생한 것이다. 황사가 만든 천연 절벽의 분홍색을 띤 거대한 기둥과 계단들을 수없이 거느리고 서 있는 건물의 웅장한 모습은 마치 거인을 위하여 지은 건물과도 같다. 암벽을 깎아 만든 건물 중 가장 높은 것은 15층 건물의 높이와 견주어지는데 현관의 높이만도 12m가 되고, 문턱은 기어올라가야 할 정도로 높게 만들어져 있다. 그 당시에도 이 건물들의 건축 방식이나 규모가 어찌나 엄청났던지 그 주위 도시의 아랍인들은 이 건물들이 '마호메트의 영'이 지은 것이라고 믿을 정도였다.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음악 임을 위한 행진곡 - 최도은 update 風文 2024.05.26 1346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6881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32209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34540
940 '긴 이야기(novel)'가 어째서 '小說'이 되었을까? 바람의종 2009.11.03 4297
939 국회 용어, 이것만은 고치자 바람의종 2009.11.02 3613
938 왜 언어가 중요한가? 바람의종 2009.10.28 4181
937 '대통령'은 일본식 용어 바람의종 2009.10.27 4518
936 '國會', 명칭부터 바꿔라 바람의종 2009.10.11 4082
935 '주식회사' 명칭도, 노동'조합' 이름도 바뀌어야 바람의종 2009.10.08 4023
934 잘못된 언어로부터 잘못된 개념이 나온다 바람의종 2009.10.07 3358
933 개념을 지배하는 자가 세상을 지배한다 바람의종 2009.10.06 4060
932 근대적 인종주의의 본격적 발전 바람의종 2009.10.02 3573
931 전근대 유럽사회와 인종주의 바람의종 2009.10.01 4021
930 인종주의, 왜 문제인가? 바람의종 2009.09.29 3340
929 존 로크와 식민주의 바람의종 2009.09.26 3380
928 그로티우스와 식민주의적 열망 바람의종 2009.09.25 3401
927 근대 자연법의 형성과 식민주의 바람의종 2009.09.24 3673
926 월러스틴 세계체제론과 유럽중심주의 바람의종 2009.09.23 3849
925 근대 초 아시아경제의 재평가 바람의종 2009.09.22 4761
924 유럽 자본주의는 어떻게 발전했나 바람의종 2009.09.21 3358
923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 바람의종 2009.09.18 3469
922 인류 최대의 홀로코스트 바람의종 2009.09.04 37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