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53 추천 수 2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절벽을 깎아 만든 페트라의 무덤

  매우 희귀한 건축 방법으로 만들어진 무덤이 있는 고대 도시 페트라는 오랜 세월에 걸친 붉은 모래 폭풍에 의하여 형성된 높은 절벽들로 둘러싸인, 남부 요르단의 깊은 계곡에 숨겨져 있다. 이 특수한 지리 조건 때문에 오랫동안 외부 세계에 그 존재가 알려지지 않고 있던 이 도시가 1812년, 탐험가들에 의하여 발견되자 온 세계는 절벽을 깎아 만든 수많은 분홍색 무덤 건물의 모습에 경탄을 금치 못하였다. 기원전 4세기경 로마에 의하여 점령된 이래, 로마 군들의 전초 기지로 이용되어 오던 페트라 시는 점차 낙타상들의 교역 중심지 또는 회교도들의 전략 기지로 이용되었으며 기독교 박해 당시에는 기독교 저항 세력의 보루가 되기도 하였다. 깎아 세운 듯이 높은 절벽으로 둘러싸인 계곡의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는 천연적이 요새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이 도시에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절벽 사이에 난 좁은 길 뿐인데, 이 길은 어찌나 좁은지 사람이 서서 양팔을 벌리면 두 손이 모두 절벽에 닿을 정도이다. 아무리 많은 군사가 쳐들어와도 10명 정도의 군사가 이 길목만 지키면 도시는 충분히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수세기를 통하여 페트라 시에 살고 있던 부유한 상인들은 인근 도시들과 견줄 만한 훌륭한 신전과 무덤을 건축하기를 원하였지만 입로가 너무 좁아 이런 건축 자재들을 외부로부터 들여올 수 없는 문제점에 부딪히자 페트라의 통치자들이나 상인들은 그 대신 절벽은 깎아 만드는 희한한 건축 방식을 생각해냈던 것이다. 결국 세기의 걸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건물이 탄생한 것이다. 황사가 만든 천연 절벽의 분홍색을 띤 거대한 기둥과 계단들을 수없이 거느리고 서 있는 건물의 웅장한 모습은 마치 거인을 위하여 지은 건물과도 같다. 암벽을 깎아 만든 건물 중 가장 높은 것은 15층 건물의 높이와 견주어지는데 현관의 높이만도 12m가 되고, 문턱은 기어올라가야 할 정도로 높게 만들어져 있다. 그 당시에도 이 건물들의 건축 방식이나 규모가 어찌나 엄청났던지 그 주위 도시의 아랍인들은 이 건물들이 '마호메트의 영'이 지은 것이라고 믿을 정도였다.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9448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39570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41979
공지 동영상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風文 2019.06.20 4602
999 '자유로운 유럽 중세도시'라는 신화 바람의종 2009.08.02 4415
998 유럽 중세도시의 실상 바람의종 2009.08.04 3934
997 유럽의 도시는 특수하다고? 바람의종 2009.08.05 3783
996 르네상스, 무엇이 문제인가? 바람의종 2009.08.06 3694
995 부르크하르트가 보는 르네상스와 그 문제점 바람의종 2009.08.27 4233
994 르네상스 이데올로기를 넘어서서 바람의종 2009.08.29 3946
993 아메리카의 발견? 바람의종 2009.08.30 3517
992 유럽은 어떻게 아메리카를 정복했나? 바람의종 2009.09.01 3511
991 유럽은 어떻게 아메리카를 착취했나? 바람의종 2009.09.03 3273
990 인류 최대의 홀로코스트 바람의종 2009.09.04 3820
989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 바람의종 2009.09.18 3519
988 유럽 자본주의는 어떻게 발전했나 바람의종 2009.09.21 3485
987 근대 초 아시아경제의 재평가 바람의종 2009.09.22 4851
986 월러스틴 세계체제론과 유럽중심주의 바람의종 2009.09.23 4053
985 근대 자연법의 형성과 식민주의 바람의종 2009.09.24 3781
984 그로티우스와 식민주의적 열망 바람의종 2009.09.25 3493
983 존 로크와 식민주의 바람의종 2009.09.26 3469
982 인종주의, 왜 문제인가? 바람의종 2009.09.29 3546
981 전근대 유럽사회와 인종주의 바람의종 2009.10.01 40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