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402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상에서 가장 큰 세코야나무

  캘리포니아를 방문하여 이 세코야나무를 직접 보지 못한 사람들도 그 밑동을 뚫어 만든 터널로 자동차가 지나갈 수 있을 만큼 거대한 상록수의 모습을 사진을 통하여 보았을 것이다. 식물 왕국의 기둥과 같은 이 상록수는 지구상에 현존하고 있는 나무들 중 가장 큰 종류인 동시에 가장 오래된 생물이기도 하다. 이 세코야나무의 원종은 약 1억 년 전부터 이 지구상에 자생하기 시작하여 한때는 주로 지구 북반구 지역에 무성하게 자라고 있었으나 빙하기 때 거의 멸종하여 지금은 단 두 종류만이 살아남게 되었으며 이 두 종류 모두 미국 태평양 해안의 제한된 지역에서만 자라고 있다. 이 세코야나무의 한 종류는 보통 98m의 높이에 9m의 두께로 자라는데 수령이 4,000년 넘는 경우도 허다하다. 하지만 높이만을 따지자면 가장 크게 자라는 나무는 단연 삼나무로서 이 나무는 최고 100m, 즉 30층 건물의 높이로 자라기도 한다. 어쨌든 세코야나무는 매우 훌륭한 건축 자재로 쓰이고 있다. 이 거목의 껍질은 불에 잘 견디고 곰팡이와 벌레에도 강한 습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거대한 나무가 오랜 세월 동안 살아 남을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습성의 결과일 것이다.


 


     모든 뱀장어는 소금물에서 태어난다

  좀 이상스럽고 몰인정해 보이기도 하지만, 어미 뱀장어는 새끼를 물 속에서 낳으면, 그 새끼들은 혼자 남겨져 스스로 그들의 어미들이 왔던 길을 찾아 집으로 돌아와야 한다. 어미 뱀장어들은 유럽의 강지류들을 타고 멀리에서 왔기 때문에, 새끼들이 그들의 집을 찾는 데는 보통 3년이 걸린다고 한다. 그러나 미국의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새끼 뱀장어들은 그렇게 오랫동안 방황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모든 뱀장어들은 같은 장소에서 알을 낳는데, 그곳은 대서양에 있는 버뮤다 섬 근처이다. 보통 새끼 뱀장어들이 8년에서 12년이 되면 알을 낳게 되는데, 새끼를 낳게 되면 어미는 죽게 된다. 그리고 그 새끼들은 또다시 그들의 어미들이 왔던 길을 찾아 혼자만의 여행을 시작하는 것이다. 그곳이 어디든지 간에. 미국에서 태어난 새끼 뱀장어들은 태어나자마자 그들의 어미들이 왔었던 길을 찾아 서툴게 헤엄을 치면서 해안 쪽으로 간다고 한다. 그러나 유럽에서 태어난 새끼 뱀장어들은 그들이 왔었던 강과 시냇물로 올라가기 전에 일단 대서양을 가로질러 헤엄쳐야 하기 때문에 그들의 여행은 더욱 오랜 시간이 걸린다. 보통 10년에서 12년 사이에 새끼 뱀장어들은 완전히 성숙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깨끗한 물을 떠나 다시 위험하고 긴 여행을 거쳐 바다로 돌아가야 한다. 알을 낳기 위해서이다. 그리고는 죽는다. 그래서 뱀장어들은 언제나 소금물, 즉 바닷물에서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수컷 오징어

  수컷 오징어는 암컷이 상처를 입을 경우에 그런 암컷을 돕기 위해 항상 대비한다고 한다. 그러나 수컷이 상처를 입을 경우, 암컷은 그 수컷을 돌보지 않는다.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음악 임을 위한 행진곡 - 최도은 update 風文 2024.05.26 1642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7149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33197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35585
공지 동영상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update 風文 2019.06.20 2609
941 신라 '계림'에서 중국 '길림(吉林)' 지명 비롯돼 바람의종 2009.11.08 4066
940 '긴 이야기(novel)'가 어째서 '小說'이 되었을까? 바람의종 2009.11.03 4308
939 국회 용어, 이것만은 고치자 바람의종 2009.11.02 3613
938 왜 언어가 중요한가? 바람의종 2009.10.28 4186
937 '대통령'은 일본식 용어 바람의종 2009.10.27 4520
936 '國會', 명칭부터 바꿔라 바람의종 2009.10.11 4084
935 '주식회사' 명칭도, 노동'조합' 이름도 바뀌어야 바람의종 2009.10.08 4028
934 잘못된 언어로부터 잘못된 개념이 나온다 바람의종 2009.10.07 3379
933 개념을 지배하는 자가 세상을 지배한다 바람의종 2009.10.06 4062
932 근대적 인종주의의 본격적 발전 바람의종 2009.10.02 3573
931 전근대 유럽사회와 인종주의 바람의종 2009.10.01 4037
930 인종주의, 왜 문제인가? 바람의종 2009.09.29 3349
929 존 로크와 식민주의 바람의종 2009.09.26 3389
928 그로티우스와 식민주의적 열망 바람의종 2009.09.25 3407
927 근대 자연법의 형성과 식민주의 바람의종 2009.09.24 3679
926 월러스틴 세계체제론과 유럽중심주의 바람의종 2009.09.23 3877
925 근대 초 아시아경제의 재평가 바람의종 2009.09.22 4774
924 유럽 자본주의는 어떻게 발전했나 바람의종 2009.09.21 3373
923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 바람의종 2009.09.18 34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