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840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솝은 "이솝 우화"를 쓰지 않았다

  "이솝 우화"는 이솝이 죽은 지 몇 백 년 후, 바브리우스라고 하는 이탈리아 사람에 의해 씌어졌다. 그러니 '바브리우스의 우화'라고 명명되었어야 했을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그 유명한 프리지아 사람인 우화 작가 이솝은 실제 생존했던 인물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게다가 그가 편집했다고 알려진 우화들은 사라지고 없는 상태이니까, 사실 현재 그의 작품은 하나도 없는 셈이다. 이솝의 명성은 이미 널리 퍼져 있기 때문에 동물의 그림을 이용하여 도덕적인 주제를 다룬 이야기들은 심지어 '이솝풍'이라고 말해지기까지 한다. 그러나 이에는 소크라테스와 그 이후 세대 작가들의 공헌이 컸다. 그들은 바브리우스의 창작 우화에, 이솝이라는 이름을 붙였기 때문이다. 즉 불멸의 현인 이솝의 이름을 수여하면서 동시에 바브리우스의 지혜를 바꾼 것이다.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8302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35917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38318
공지 동영상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update 風文 2019.06.20 3544
1169 형설지공 바람의종 2008.04.02 5091
1168 동영상 Clanadonia perform Last of the Mohicans in Perth City centre during Medieval Fayre Aug 2017 風文 2019.01.20 5090
1167 서생은 부족 여모라 바람의종 2008.05.29 5088
1166 이글저글 風磬 2006.10.20 5080
1165 학문에 왕도가 없다 바람의종 2007.10.18 5066
1164 제호탕 바람의종 2008.06.28 5066
1163 양주 밥 먹고 고양 구실 한다 바람의종 2008.06.16 5055
1162 살아서는 임금의 형이요, 죽어서는 부처의 형 바람의종 2008.05.25 5054
1161 전전긍긍 바람의종 2008.03.11 5052
1160 카놋사의 굴욕 바람의종 2007.09.23 5051
1159 디오게네스(Diogenes) 바람의종 2007.02.22 5043
1158 소대성이 항상 잠만 자나? 바람의종 2008.06.02 5017
1157 동영상 Amazing Grace - Peter Hollens feat. Home Free 風文 2018.02.26 5014
1156 유토피아 바람의종 2007.08.22 4990
1155 서해어룡동 맹산 초목지 바람의종 2008.05.31 4990
1154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 바람의종 2007.08.23 4986
1153 삼천지교 바람의종 2008.02.01 4958
1152 보호색 군복 바람의종 2008.05.10 4948
1151 한 알의 밀이 죽지 않는다면 바람의종 2007.10.19 49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