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8 06:05

퇴고·추고

조회 수 3611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퇴고·추고

  시문의 자귀를 단련함을 말한다.

  중당의 시인 가도는 당나귀 등에서 흔들리며 무엇인지 중얼중얼, 혼자서 묘한 손짓에 팔려 있었다. 길 가던 사람들은 흘깃흘깃 그를 돌아보건만 그는 방심한 양으로 당나귀가 어디로 가는지 조차 모르는 눈치였다. 그는 지금 당나귀 위에서 '이 응의 유거에 제하여'라는 시가 생각난 참이었다.

  한 거에 이웃이 드물고 풀섶길이 황원으로 들러가라
  새는 못 가의 나무에 깃들이고
  스님은 달 아래 문을 두드리네.

  그런데 끝 구절에서 문을 민다고 해야 할지 두드린다고 해야 할지 망설여졌다. 그래서 그는 손짓으로 미는 시늉도 해보고 두드리는 시늉도 해 보는 참이었다. 그러다가 고관의 행차에 부딪쳐 경윤 앞으로 끌려가게 되었다. 용케도 그 고관이 대시인 한 퇴지였기에 사정 얘기를 듣고 웃었다.

  "그거야 두드린다는 편이 낫겠는 걸"

  이것이 인연이 되어 두 사람은 다시 없는 시우가 되었다. '퇴 자는 밀 퇴자이자 가릴 추자이므로 퇴고,추고 아울러 무방하지 않겠는가?'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7804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35040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37459
공지 동영상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update 風文 2019.06.20 2951
428 기습작전 바람의종 2008.04.21 4400
427 그 말을 왜했던고 바람의종 2008.04.20 3896
426 군자는 가기이방 바람의종 2008.04.19 4620
425 구천십장 남사고 바람의종 2008.04.17 4167
424 구렁이 제 몸 추듯 한다 바람의종 2008.04.16 4085
423 꽃중에 좋은 꽃 바람의종 2008.04.15 4799
422 공당문답 바람의종 2008.04.14 4072
421 고려 공사 삼일 바람의종 2008.04.13 4142
420 계란유골 바람의종 2008.04.10 4094
419 건지두풍 바람의종 2008.04.09 4623
418 강강수월래 바람의종 2008.04.08 4081
417 투표합시다 바람의종 2008.04.08 30082
416 후생가외 바람의종 2008.04.06 5599
415 화룡점정 바람의종 2008.04.05 6150
414 홍일점 바람의종 2008.04.04 5797
413 호접지몽 바람의종 2008.04.03 5485
412 형설지공 바람의종 2008.04.02 5045
411 해로동혈 바람의종 2008.04.01 5403
410 한단지몽 바람의종 2008.03.31 57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