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3 11:47

식지

조회 수 3926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식지

  둘째 손가락 - 식사 할 때만 쓰인다고 한다. 그러므로 '식지가 동한다'고 하면 식욕이나 혹은 사물에 대한 욕망을 느낀다는 말이다. (다섯 손가락의 이름은 거지, 식지, 장지, 무명지, 소지)

  정나라 영공에게 초나라 사람이 커다란 거북을 진상하였다. 그런 줄도 모르고 자공 자가 두 공자가 입궐하려 하는데 자공의 둘째 손가락이 움직거렸다. 자공은 자가에게 그 손가락을 보이면서

  "항상 이렇게 내 식지가 동하면 맛있는 걸 먹게 되거든."

  아니나 다를까 입궐해 보니 거북 요리를 먹을 판이었다. 그런데 두 공자가 식탁을 대했을 때 자공은 불려 나가게 되었다. 아까 식지가 동한 노릇을 무효가 되게 해 보려는 조롱이었는데 자공은 제가 선수를 써서 영공을 죽이기로 마음 먹고 자가에게 의논하였다. 자가는 불응했으나 자공의 위협에 못 이겨서 수긍하였다. 그래 영공은 마침내 죽었다는 얘기가 '춘추'에 나오는데 식사에 관한 원한이란 심각하다나?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9580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41150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43434
공지 동영상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風文 2019.06.20 4751
1132 한때 하인의 위치에 머물렀던 작곡가들의 지위 바람의종 2010.04.07 4960
1131 백발 삼천장 바람의종 2008.01.16 4956
1130 신 정승 구 정승 바람의종 2008.06.12 4952
1129 송도 말년의 불가살이 바람의종 2008.06.04 4943
1128 오합지중 바람의종 2008.02.24 4942
1127 뜨고도 못 보는 해태 눈 바람의종 2008.04.29 4941
1126 옥상가옥 바람의종 2008.02.25 4939
1125 근대 초 아시아경제의 재평가 바람의종 2009.09.22 4929
1124 한 표의 위력 바람의종 2010.02.25 4929
1123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5. 바지 때문에 탄생한 옷은? 바람의종 2012.01.23 4912
1122 언문 진서 섞어작 바람의종 2008.06.18 4911
1121 꽃중에 좋은 꽃 바람의종 2008.04.15 4895
1120 이글저글 風磬 2006.10.21 4892
1119 피리를 불어도 춤추지 않는다 바람의종 2007.10.17 4872
1118 불강불욕 바람의종 2008.05.12 4871
1117 행복은 무엇입니까? 바람의종 2010.03.15 4858
1116 국민에,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바람의종 2007.08.24 4854
1115 짐은 국가이다 바람의종 2007.09.18 4853
1114 사는야그 넋두리 2 風文 2018.03.23 48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