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9.19 13:55

집시

조회 수 445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집시

  프랑스 작가 '프리스퍼 메리메'의 대표작 '카르멘'의 주인공은 분방하고 정열적인 '집시' 여자. 살결이 거무스레하고 새까만 눈동자, 검은 머리, 웃으면 이가 유난히 희고 아름답다. 이들은 본시 인도에 있었으나 차츰 서쪽으로 나아가서 소아시아와 발칸반도를 거쳐 지금은 유럽 전역에 흩어져 있다. 그들이 처음 유럽에 나타난 것은 14세기 경의 일. 처음에는 별 말썽이 없었으나 차츰 이교도라하여 배척했고 17세기 경부터는 곳곳에서 추방령이 내리기까지 했다. 포장마차에 몸을 담고 떠돌아 다니는 그들은 도벽이 심하고 책임감이 없다하여 도처에서 괄시를 당했지만 음악과 무용에는 천재적인 재능을 지녀 인류 문화에 끼친 영향도 적지 않다. 즉 '집시 음악', '집시 무용'은 민족 예술의 형태로 전해 내려오고 있을뿐더러 전통적인 예술분야에까지 파고 들었다. 바이얼린의 명곡 '지고이 넬바이젠'은 집시계의 명연주가 '사라사테'가 작곡했고, '리스트'의 '헝가리 광상곡', '브람즈'의 '헝가리 무곡' 등에는 '지시' 음악이 풍부히 담겨져 있다. '메리메'의 소설을 바탕 삼은 '비제'의 가곡 '카르멘'은 '집시'의 음악과 무도가 큰 구실을 하고 있다. '집시'란 명칭은 그들을 처음 본 영국인이 이집트인과 혼동한데서 생긴 것이며 그들 자신은 '로마니'라고 한다. '프랑스'에서는 '보엠' (보헤미아인), '보헤미앙 라이프'도 실은 '집시와 같은 분방한 생활'의 뜻으로 '보헤미아'와는 관계가 없다.  '집시'의 장기 가운데 하나는 손금 보는 것과 트럼프의 점이 있으며 트럼프도 그들에 의하여 유럽에 전해졌다고 한다.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8666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36597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39026
공지 동영상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update 風文 2019.06.20 4010
1701 스파르타 교육 바람의종 2007.07.10 2956
1700 스핑크스 바람의종 2007.07.11 3134
1699 시간은 돈이다 바람의종 2007.07.13 3243
1698 시시포스의 바위 바람의종 2007.07.14 3075
1697 사는야그 얼음... 2 바람의 소리 2007.07.14 38734
1696 신데렐라 바람의종 2007.07.16 3209
1695 13일의 금요일 바람의종 2007.07.17 3599
1694 아담과 이브 바람의종 2007.07.18 3415
1693 아담이 밭갈이 하고 이브가 길쌈할 때 바람의종 2007.07.19 3109
1692 아론의 지팡이 바람의종 2007.07.20 3210
1691 아마존의 여군 바람의종 2007.07.23 2984
1690 아킬레스 힘줄 바람의종 2007.07.24 3192
1689 사는야그 칼. 바람의 소리 2007.07.26 31158
1688 아폴로와 월계관 바람의종 2007.07.27 3266
1687 악어의 눈물 바람의종 2007.07.28 3121
1686 악화는 양화를 구축한다 바람의종 2007.07.29 2903
1685 알파와 오메가 바람의종 2007.07.30 2935
1684 자유계시판에... 바람의 소리 2007.07.30 22008
1683 사는야그 여름철 휴대폰 사용, "이것만은 꼭 알아주세요 바람의 소리 2007.07.30 335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