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006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랑은 아무나 하나」(시인 이상섭) 2009년 8월 10일(마지막 회)










내가 설희 아줌마를 만난 건 꼬치구이 공장에서였다. 당시 나는 제대를 하고 복학을 앞둔 때였다. 하필 아버지가 직장에서 밀려나 방구들과 친하게 지내는 터라 등록금 마련이 막막했던 터였다. 해서 닭고기 꼬치구이를 만드는 소규모 공장에서 한시적으로 공돌이 생활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거기서 내가 한 일이란 냉동고에서 닭을 꺼내 해동을 시키거나, 해동된 닭은 해체 코너로, 꿰어진 꼬치는 다시 냉장실로 옮기는 단순노동이었다. 게다가 직원이랍시고 근무하는 치들은 거개가 아줌마 아니면 노파들이었다. 직원들이 아낙들이라 입이 걸었다. 꼬치만 만지니 집에 가면 서방 것도 만지고 싶지 생각이 없다거나, 꼬치는 양껏 주물러야 제 맛이 난다는 둥, 하여튼 내가 듣기에도 거북했으나 그런 농지거리 덕분에 지루함을 잊을 수 있었다.


 


직원 중에 홍일점은 단연 설희 아줌마였다. 그녀는 나이가 제일 젊었을 뿐만 아니라 얼굴도 곱상해 자주 눈길이 갔다. 다만 흠이 있다면 혀짤배기란 점이었다. ‘오는은 난도 디독히 덥네, 이디 가오제 어디노 가가누.’ 처음 그녀의 말을 들을 때에는 무슨 모국어를 저리 엉망으로 만드나 싶어 웃음이 빵빵, 터지기 일쑤였다. 하지만 자주 접하다 보니 아, 그게 ‘오늘은 날이 지독히 덥네, 이리 갖고 오지 어디로 가져가느냐’ 하는 말임을 알아챌 수 있었다. 이후부터 나는 부러 종종 말을 걸기도 했는데 덕분에 누구보다 친한 사이가 되었다.


 


한데 시절이 하 수상해지더니 날개 달린 것들이 수난을 당하는 계절이 닥치고야 말았다. 조류독감의 영향으로 공장 또한 꽁꽁 묶인 신세가 되자 제품은 냉동창고 속에 쌓여만 갔다. 자연 임시직인 나는 닭과 같이 모가지를 내놓아야 할 처지였다. 내가 그만둔다는 소식을 듣자 ‘오뉴월 곁불도 쬐다 물러나면 서운하다’며 아낙들이 사장의 똥구멍을 긁었다. 좋습니다, 이왕 재고 쌓이는 거, 스트레스 확 풉시다. 인심 좋은 사장 덕분에 돼지갈비 집에서 연기를 덮어써 가며 배를 불렸다. 거나하게 취한 아낙들은 다시 사장의 옆구리를 찔러 가며 노래방 타령을 해댔다.


 


그러자 곁에 있던 설희 아줌마의 눈이 커졌다. 하지만 취흥에 젖은 사장은 설희 아줌마를 무시한 채 소대장처럼 직원들을 노래방으로 이끌었다. 역시 소주 약발은 대단했다. 노래방에 들어선 그들은 깡통맥주 몇 개를 시키자마자 마이크를 싸쥔 땡고함을 질러대기 시작했다. 한데도 설희 아줌마는 꿔다놓은 보릿자루처럼 박수만 쳐대는 신세였다. 일행은 깜냥껏 노래를 하더니 기운이 꺾일 때쯤 되자 설희 아줌마를 배려하기 시작했다. 회식자리에 왔으면 한 곡조는 빼고 가야제, 설희 동생 노래를 안 듣고 어떻게 일어서? 그녀는 당황스러워 했다. 일행은 채근을 멈추지 않았다. 사태가 이상하게 꼬이자 그녀도 더 이상 꽁무니만 빼고 있을 순 없었다.


 


그녀가 마이크를 덥석 싸쥐었다. 곡명은 태진아의 그 유명한 <사랑은 아무나 하나>. 노래의 전주가 나오자 그녀는 긴장하면 어떻게 된다는 걸 알았기에 헛기침 몇 방으로 마음을 달랬다. 그런 다음 천천히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제대로 된 발음이 나오자 두 눈을 휘둥그렇게 치떴다. 뜨거운 격려와 박수는 당연한 결과였다. 그런데 예기치 못한 청중의 반응에 긴장했던지 그만 그녀의 혀가 꼬이기 시작했다. 급기야 ‘어느 누가 쉽다고 했나’, 하는 부분에서 완전한 말썽을 부리고야 말았다.


 


때를 기다렸다는 듯이 누군가 흰소리를 쳤다. 아니, 사랑을 할 때는 씹 닦고 하지, 안 닦고 하는 년이 어딨어? 뒤질세라 다른 누군가가 또 말장단을 이었다. 아마, 설희 동생은 그거 할 때 안 닦고 하는 모양이제? 곁에서 듣고 있던 내가 무안할 정도였다. 하지만 그녀도 결코 말랑한 여자가 아니었다. 지가 공장서 맨난 늦으이 남편이 다랑하고 디퍼 그양 단녀드는데 닦은 새가 있겠두? 그제야 나도 대놓고 깔깔거릴 수 있었다.



























■ 필자 소개





이상섭(시인)


1961년 경남 거제에서 태어나, 1998년 국제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02년 《창작과비평》 신인소설상 수상했다. 소설집으로 『슬픔의 두께』『그곳에는 눈물들이 모인다』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288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730
3035 힘이 부치거든 더 힘든 일을 하라 바람의종 2010.05.31 6505
3034 힘을 냅시다 風文 2020.05.05 1287
3033 힘써야 할 세가지 일 바람의종 2012.08.29 13743
3032 힘들 때, '기쁨의 목록' 만들기 風文 2014.11.29 10016
3031 힘내요! 나도, 당신도. 風文 2019.08.30 1369
3030 힘과 용기가 필요하다면 바람의종 2008.07.31 11545
3029 힐러의 손 윤영환 2013.06.28 14975
3028 히틀러는 라디오가 없었다면 존재할 수 없었다 바람의종 2008.08.05 17108
3027 희열을 느끼는 순간 風文 2020.05.01 1386
3026 희열감이 뭉게구름처럼 윤안젤로 2013.03.07 12856
3025 희생할 준비 바람의종 2011.11.09 8541
3024 희생 정신 바람의종 2012.06.11 11942
3023 희미한 추억을 되살리려면 風文 2022.02.06 1297
3022 희망이란 風文 2013.08.20 19512
3021 희망이란 바람의종 2009.07.31 9107
3020 희망이란 바람의종 2010.08.03 7865
3019 희망이란 윤영환 2011.08.16 6990
3018 희망이란 바람의종 2012.08.01 10390
3017 희망이란 風文 2015.06.03 7510
3016 희망이란 風文 2019.08.12 1290
3015 희망이란 風文 2021.09.02 1015
3014 희망이란 風文 2022.06.01 1224
3013 희망이란 風文 2023.08.04 1415
3012 희망의 줄 바람의종 2011.02.03 7159
3011 희망의 스위치를 눌러라 바람의종 2008.12.27 86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