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954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랑은 아무나 하나」(시인 이상섭) 2009년 8월 10일(마지막 회)










내가 설희 아줌마를 만난 건 꼬치구이 공장에서였다. 당시 나는 제대를 하고 복학을 앞둔 때였다. 하필 아버지가 직장에서 밀려나 방구들과 친하게 지내는 터라 등록금 마련이 막막했던 터였다. 해서 닭고기 꼬치구이를 만드는 소규모 공장에서 한시적으로 공돌이 생활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거기서 내가 한 일이란 냉동고에서 닭을 꺼내 해동을 시키거나, 해동된 닭은 해체 코너로, 꿰어진 꼬치는 다시 냉장실로 옮기는 단순노동이었다. 게다가 직원이랍시고 근무하는 치들은 거개가 아줌마 아니면 노파들이었다. 직원들이 아낙들이라 입이 걸었다. 꼬치만 만지니 집에 가면 서방 것도 만지고 싶지 생각이 없다거나, 꼬치는 양껏 주물러야 제 맛이 난다는 둥, 하여튼 내가 듣기에도 거북했으나 그런 농지거리 덕분에 지루함을 잊을 수 있었다.


 


직원 중에 홍일점은 단연 설희 아줌마였다. 그녀는 나이가 제일 젊었을 뿐만 아니라 얼굴도 곱상해 자주 눈길이 갔다. 다만 흠이 있다면 혀짤배기란 점이었다. ‘오는은 난도 디독히 덥네, 이디 가오제 어디노 가가누.’ 처음 그녀의 말을 들을 때에는 무슨 모국어를 저리 엉망으로 만드나 싶어 웃음이 빵빵, 터지기 일쑤였다. 하지만 자주 접하다 보니 아, 그게 ‘오늘은 날이 지독히 덥네, 이리 갖고 오지 어디로 가져가느냐’ 하는 말임을 알아챌 수 있었다. 이후부터 나는 부러 종종 말을 걸기도 했는데 덕분에 누구보다 친한 사이가 되었다.


 


한데 시절이 하 수상해지더니 날개 달린 것들이 수난을 당하는 계절이 닥치고야 말았다. 조류독감의 영향으로 공장 또한 꽁꽁 묶인 신세가 되자 제품은 냉동창고 속에 쌓여만 갔다. 자연 임시직인 나는 닭과 같이 모가지를 내놓아야 할 처지였다. 내가 그만둔다는 소식을 듣자 ‘오뉴월 곁불도 쬐다 물러나면 서운하다’며 아낙들이 사장의 똥구멍을 긁었다. 좋습니다, 이왕 재고 쌓이는 거, 스트레스 확 풉시다. 인심 좋은 사장 덕분에 돼지갈비 집에서 연기를 덮어써 가며 배를 불렸다. 거나하게 취한 아낙들은 다시 사장의 옆구리를 찔러 가며 노래방 타령을 해댔다.


 


그러자 곁에 있던 설희 아줌마의 눈이 커졌다. 하지만 취흥에 젖은 사장은 설희 아줌마를 무시한 채 소대장처럼 직원들을 노래방으로 이끌었다. 역시 소주 약발은 대단했다. 노래방에 들어선 그들은 깡통맥주 몇 개를 시키자마자 마이크를 싸쥔 땡고함을 질러대기 시작했다. 한데도 설희 아줌마는 꿔다놓은 보릿자루처럼 박수만 쳐대는 신세였다. 일행은 깜냥껏 노래를 하더니 기운이 꺾일 때쯤 되자 설희 아줌마를 배려하기 시작했다. 회식자리에 왔으면 한 곡조는 빼고 가야제, 설희 동생 노래를 안 듣고 어떻게 일어서? 그녀는 당황스러워 했다. 일행은 채근을 멈추지 않았다. 사태가 이상하게 꼬이자 그녀도 더 이상 꽁무니만 빼고 있을 순 없었다.


 


그녀가 마이크를 덥석 싸쥐었다. 곡명은 태진아의 그 유명한 <사랑은 아무나 하나>. 노래의 전주가 나오자 그녀는 긴장하면 어떻게 된다는 걸 알았기에 헛기침 몇 방으로 마음을 달랬다. 그런 다음 천천히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제대로 된 발음이 나오자 두 눈을 휘둥그렇게 치떴다. 뜨거운 격려와 박수는 당연한 결과였다. 그런데 예기치 못한 청중의 반응에 긴장했던지 그만 그녀의 혀가 꼬이기 시작했다. 급기야 ‘어느 누가 쉽다고 했나’, 하는 부분에서 완전한 말썽을 부리고야 말았다.


 


때를 기다렸다는 듯이 누군가 흰소리를 쳤다. 아니, 사랑을 할 때는 씹 닦고 하지, 안 닦고 하는 년이 어딨어? 뒤질세라 다른 누군가가 또 말장단을 이었다. 아마, 설희 동생은 그거 할 때 안 닦고 하는 모양이제? 곁에서 듣고 있던 내가 무안할 정도였다. 하지만 그녀도 결코 말랑한 여자가 아니었다. 지가 공장서 맨난 늦으이 남편이 다랑하고 디퍼 그양 단녀드는데 닦은 새가 있겠두? 그제야 나도 대놓고 깔깔거릴 수 있었다.



























■ 필자 소개





이상섭(시인)


1961년 경남 거제에서 태어나, 1998년 국제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02년 《창작과비평》 신인소설상 수상했다. 소설집으로 『슬픔의 두께』『그곳에는 눈물들이 모인다』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626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949
335 친구의 슬픔 風文 2013.07.09 12209
334 친구인가, 아닌가 바람의종 2008.11.11 7798
333 친밀한 사이 風文 2023.12.29 591
332 친밀함 바람의종 2009.10.27 5096
331 친애란 무엇일까요? 바람의종 2007.10.24 11060
330 친절을 팝니다. 風文 2020.06.16 913
329 침묵과 용서 風文 2024.01.16 1245
328 침묵의 예술 바람의종 2008.11.21 7296
327 침묵하는 법 風文 2014.12.05 9637
326 침착을 되찾은 다음에 風文 2015.08.20 12837
325 칫솔처럼 風文 2014.11.25 7820
324 카오스, 에로스 風文 2023.05.12 1013
323 카지노자본주의 - 도종환 (98) 바람의종 2008.11.26 6922
322 카프카의 이해: 먹기 질서와 의미 질서의 거부 바람의종 2008.08.19 8954
321 칼국수 風文 2014.12.08 9315
320 커피 한 잔의 행복 風文 2013.08.20 17544
319 코앞에 두고도... 風文 2013.08.19 13899
318 콧노래 윤안젤로 2013.06.03 13965
317 콩 세 알을 심는 이유 바람의종 2009.09.18 6255
316 쾌감 호르몬 風文 2023.10.11 760
315 큐피드 화살 風文 2014.11.24 8281
314 큰 돌, 작은 돌 바람의종 2010.02.02 5659
313 큰 뜻 바람의종 2010.08.10 4483
312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3. 깨달음 風文 2020.05.29 1142
311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10. 가치 風文 2020.06.05 7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