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64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수성찬」(시인 이상섭) 2009년 8월 7일










탈이 나도 단단히 난 모양이었다. 표백제로 세수를 한 듯 얼굴은 창백했고, 몸은 스르륵 녹아 바닥으로 물처럼 스며들 것 같았다. 약을 먹어도 마찬가지였다. 참다 못한 그는 조기 퇴근을 허락받은 후 집으로 향했다. 아내와 통화를 시도했지만 허사였다. 아내는 나름 오늘도 직장에서 바쁘게 나부대는 모양이었다. 이런 날, 내조라도 받으며 편하게 쉬면 좀 좋을까. 하지만 맞벌이를 하면서 다섯 살, 네 살 연년생 오누이에, 아파트까지 장만하는 기염을 토한 아내이니 딱히 방법은 없었다.


 


하지만 안방에 들어섰을 때, 침대에 누워 있는 아내를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우렁각시도 아니고 그의 마음을 어찌 알고 집에 와 있단 말인가. 아니, 당신이 이 시각에 웬일이야? 그의 물음에 아내 또한 눈망울을 키우며 되물었다. 당신이야말로 끄응, 왜 이리 일찍 들어온 거야? 응, 몸이 너무 아파서. 그래? 나도 감기몸살이 났나 봐, 끄응. 어디 많이 아픈 거야? 말하기도 힘들 정도로 편도선까지 왕창 부었어. 그럼, 아이들은 어떡하지? 아, 모르겠어, 끄응, 더 이상 말도 하기 힘들어. 마음에 켕기긴 했지만 그딴 고민은 나중에 하기로 하고 아픈 몸부터 조리하고 보자 싶어 침대로 파고들었다.


 


얼마 뒤였다. 다녀왔습니다, 하는 소리가 울리기 무섭게 방문이 부러질 듯 몸을 떨었다. 역시 대책 없는 작은 녀석이었다. 어, 아빠도 아픈 거야? 아내가 앓는 소리로 힘없이 대꾸했다. 끄응, 아빠도 오늘 많이 아프신가봐. 그러자 뒤따라 들어온 큰딸마저 난감한 상황인지 침대 주변을 맴돌았다. 그나저나 니네들, 저녁도 챙겨야 하는데 끄응, 어쩐다니? 기다렸다는 듯이 큰애가 대답했다. 엄마, 우리 걱정은 말고 푹 쉬어. 세상에, 저 돌콩만 한 것이 언제 저리 철이 든 것일까. 이게 다 돈 들인 사교육 덕인가. 근데, 이어지는 말은 또 뭐람. 저녁은 자기네들이 알아서 준비하겠다니. 아내 또한 어이가 없는지, 몸이 아파 성가셔서 그런지 피식, 웃고 말았다. 하긴 지들 손으로 냉장고에 있는 반찬통 하나 꺼내본 적이 없잖은가. 그가 걱정스러운 눈빛을 하자 두고 보라는 듯 아이들은 쏜살같이 나가 버렸다. 일단 두 아이의 행동을 지켜보기로 했다. 그런데 이게 웬걸, 저녁 준비는커녕 작은 방으로 들어간 두 녀석은 한참이 지나도 나올 기미가 없었다. 대신 싫어, 못해, 하는 작은 녀석의 목소리가 들릴 뿐. 그럼 그렇지, 오늘 따라 왜 안 싸우나 했다.


 


조금 뒤 현관문 열리는 소리가 났다. 밥은커녕 이제 놀러 나가는 게 급해진 모양이었다. 아이들이 사라지자 졸음이 몰려왔다. 약기운을 참지 못한 아내는 벌써 코를 고는 중이었다. 그도 아내 뒤를 따랐다. 얼마나 잤을까. 엄마, 아빠. 식사하세요, 하는 소리가 났다. 엉, 이게 무슨 소린가.


 


그와 아내는 멍한 눈으로 물음표를 교신했다. 빨랑 일어나서 식사하시라니깐요. 도대체 얼마나 멋진 저녁을 준비했기에 이 난리일까 싶어 아픈 몸을 일으켰다. 한데 이게 뭐란 말인가. 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반찬은커녕 밥공기도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대신 거기 놓인 건 딸랑 컵라면 네 개뿐! 이게 니들이 차린 저녁이야? 놀란 아내가 묻자 작은 아이가 응, 하고 코맹맹이 소리를 냈다. 앓는 부모를 위해 생애 처음으로 장만한 식사. 거기에 의미를 두는지 아내는 감격에 겨워 와, 진짜 맛있다며 호들갑을 떨어 댔다. 상황이 그렇게 돌아가니 물의 양이 모자라 짜고 면발마저 팅팅 분 것이었지만 젓가락을 쥐지 않을 수 없었다. 근데, 먹다 보니 궁금했다. 5분이면 족할 이걸 갖고 왜 그렇게 시간이 많이 걸린 거냐? 그러자 또 작은 녀석이 그의 말꼬리를 붙잡았다. 메뉴는 빨리 정했는데 누나가 라면 값을 반반씩 내자잖아, 용돈도 많이 받으면서. 그래서 네가 적게 내려고 떼쓴 거구나, 요 녀석, 손해 안 보려는 건 영판 제 엄마네? 그러자 곁에 있던 아내가 되쏘며 나섰다. 그래도 신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당신 닮은걸? 언제 아팠냐는 듯 아내가 깔깔거리기 시작했다. 덩달아 그도 웃지 않을 수 없었다.



























■ 필자 소개





이상섭(시인)


1961년 경남 거제에서 태어나, 1998년 국제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02년 《창작과비평》 신인소설상 수상했다. 소설집으로 『슬픔의 두께』『그곳에는 눈물들이 모인다』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164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537
2435 긍정적 해석 바람의종 2009.09.18 5304
2434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요청하라 風文 2022.09.18 700
2433 기꺼이 '깨지는 알' 윤안젤로 2013.03.20 10682
2432 기다려야 할 때가 있다 바람의종 2012.07.02 6708
2431 기다리지 말고 뛰어나가라 바람의종 2009.04.25 4856
2430 기대할수록 바람의종 2011.12.27 6995
2429 기도방 風文 2015.02.10 6059
2428 기름진 음식 바람의종 2011.08.27 4297
2427 기립박수 風文 2019.08.17 811
2426 기본에 충실하라! 風文 2015.07.05 7294
2425 기분 좋게 살아라 바람의종 2008.11.14 7272
2424 기뻐 할 일 - 도종환 (124) 바람의종 2009.02.02 6205
2423 기뻐하라 바람의종 2012.03.26 5103
2422 기쁨과 치유의 눈물 風文 2021.10.28 611
2421 기쁨을 발견하는 능력 風文 2016.09.04 5555
2420 기쁨의 파동 바람의종 2012.09.21 7440
2419 기싸움 바람의종 2012.05.30 5617
2418 기억 저편의 감촉 바람의종 2011.10.27 5060
2417 기억의 뒷마당 風文 2023.02.10 512
2416 기억하는 삶 風文 2019.08.29 812
2415 기적을 만드는 재료들 바람의종 2012.07.13 9774
2414 기적을 믿으며... 風文 2015.01.14 6889
2413 기적의 값 바람의종 2010.02.27 4484
2412 기적의 단식 윤영환 2011.01.28 3223
2411 기적의 발견 바람의종 2012.01.04 51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