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46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죽은 연습」(시인 서규정)   2009년 7월 20일





 





내가 지금 살고 있는 반송이라는 동네에서 버스와 전철을 갈아타고 중앙동까진 한 시간 반쯤 걸린다. 70대 초반의 대선배님들이 한 자리 끼워 주어 늘 모이는 장소에서 백 원짜리 고스톱을 같이 친다. 한참 재미있게 패가 돌아가고 그것도 하필이면 쓰리고를 들어가려는 찰나에 전화벨이 울린다.


 


야야, 나 죽을랑갑다 어서 좀 들어오니라


 


어머니다, 그렇잖아도 당뇨와 고혈압 거기다가 신경 계통의 오랜 지병이 있어 흐렸다 개었다 하루를 종잡을 수 없어, 어디 멀리 여행도 못 가고 수시로 체크를 해야 할 형편이다, 전화를 받자마자 전철 속에서 뛰고 버스 속에서도 뛰어 방문을 열자 날도 더운 날 홑이불을 머리까지 푹 덮고 누워 있는 것 아닌가, 모골이 송연해져 으매에! 부르면서 이불을 잡아당겼더니 감았던 눈을 번쩍 뜨며


 


연습이다 연습!


 


신경질이 나서 그래 할 장난이 없어 죽는 장난을 다 허요 악을 바락바락 썼더니 왜 그래 니는 예비군 훈련도 받았고 가끔 민방공도 안허냐. 참 답답하다 해야 할지 어처구니가 없다 해야 할지… 처자식 딸린 식구 하나 없이 팔십다섯 된 노인네 수발을 들며 산다는 것이 간단하지가 않고 복잡 미묘한 것이다. 효도공양을 멀리 떠나 하루하루가 전쟁이다.


 


아침 눈을 뜨기 시작해서 저녁 눈감을 때까지 싸운다. 한마디도 지지 않는다. 쓰레기통 놓는 자리부터 반찬도 없는 냉장고 속까지 일일이 상관치 않는 게 없다. 그러니 어미가 남 보기도 남세스러울 만큼 기가 세면 필경 그 자식이 피를 보는 법이라고 같은 아파트에 사는 노인네들이 나 들어라 하고 수군거리는 소릴 몇 번이나 들었다. 한번은 전라도 여자라고 했다 해서 엎치락 뒤치락 싸우던 뚱뚱한 경상도 토박이 할매 배 밑에서 간신히 꺼내온 적도 있었다. 노인네들 모여 노래하고 춤추는 경로당에 발 끊은 지 오래다. 시쳇말 왕따가 되어 빈방에서 장경동 목사 부흥회를 듣거나 뽕짝이 나오는 성인가요 채널과 혼자 논다.


 


심심하면 경로당에 가시지.


 


응흥! 니가 나를 되게 심심하게 만들지, 내가 60이 넘은 자식에게 이런 말까진 안하려 했다만 니가 진정 슬픔이란 것을 아는 인간인가 모르겄다, 무릇 시를 쓴다는 자가 허구헌 날 술만 뒤집어쓰니 머릿속엔 소주잔 하나밖엔 없는 것 같고, 구두 한 짝 어디다 벗어던지고 어떻게 집은 찾아오는지 쯧쯧!


 


이렇게 나오면 부모 자식 간에 대화가 안 된다. 마치 적을 노려보듯이 전투의지를 확실히 밝혀야 한다.


 


밭! 하고 소릴 지른다.


 


그것은 고향, 지금 안도현 시인이 교수로 있는 우석대학교 정문을 낀 밭 네 마지기를 옛날 옛날에 어머니가 쌀 열 가만가 받고 팔아버린 그 땅이다. 그대로 놔두었으면 지금쯤 벤츠를 타고 다닐 만큼 큰돈이 되었을 것 아니냐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이지만 야코라도 좀 죽여 볼라치면


 


흠, 정신이 올바른 놈은 이상과 가치를 위해 굶어죽어도 옳게 굶어죽는다던디 쯧쯧.


 


저쪽 방에서 끙하고 돌아눕는 소리가 들린다. 며칠 전엔 여동생에게 전화가 와 받으니 점쟁이에게 본 올해 신수가 여름 끝물에 복(상복) 입을 것 같다고 하니, 소리 지르고 그만큼 싸웠으면 치매는 건너뛴 것 같으니 앞으로 더 유심히 잘 살펴보라는 것이다. 대체 어디로 가려고 세상에 안하던 죽는 연습까지 하는 것인지, 아이고 어마니, 술을 먹어도 이 땅의 슬픔이란 장비 하나는 나도 알고 있고만요.






















■ 필자 소개


 




서규정(시인)


1949년 전북 완주 삼례읍에서 출생했고, 1991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으로『황야의 정거장』(1992)『하체의 고향』(1995)『직녀에게』(1999)『겨울 수선화』(2004)가 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801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286
2460 '자발적인 노예' 風文 2019.08.15 1015
2459 피곤해야 잠이 온다 風文 2022.01.30 1015
2458 토끼가 달아나니까 사자도 달아났다 風文 2022.02.24 1015
2457 바쁘다는 것은 風文 2023.04.13 1015
2456 괜찮은 어른 風文 2023.07.27 1015
2455 혼자 해결할 수 없다 風文 2020.05.03 1016
2454 살아야 할 이유 風文 2023.02.08 1016
2453 사랑은 말합니다 風文 2019.08.19 1017
2452 장미빛 인생 風文 2019.08.31 1017
2451 상대에게 만능을 요청하지 말라 風文 2022.10.10 1017
2450 마음 치유 風文 2019.08.08 1020
2449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화성인을 자처하라 주인장 2022.10.21 1020
2448 신에게 요청하라 1, 2 風文 2022.11.30 1020
2447 마음의 위대한 힘 風文 2023.05.24 1020
2446 마음을 읽어내는 독심술 風文 2023.09.22 1020
2445 새벽은 아무에게나 오지 않는다 風文 2023.11.01 1020
2444 세계 평화를 요청한 소년 - 마크 빅터 한센 風文 2022.08.28 1021
2443 '밥 먹는 시간' 행복론 風文 2023.06.20 1021
2442 신묘막측한 인간의 몸 風文 2023.09.04 1021
2441 왜 '지성'이 필요한가 風文 2022.05.16 1022
2440 단도적입적인 접근이 일궈낸 사랑 風文 2022.08.21 1022
2439 거절의 의미를 재조명하라 風文 2022.09.16 1022
2438 오래 슬퍼하지 말아요 風文 2019.08.19 1023
2437 살아있는 지중해 신화와 전설 : 17, 18 風文 2023.06.09 1023
2436 행복한 곳으로 가라 風文 2019.08.24 10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