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281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성인용품점 도둑사건」(시인 신정민)   2009년 7월 17일





 





아침 일찍 산에 오르는데 검은등뻐꾸기가 웁니다. 꼭 네 음절로 우는데요. 앞의 세 음절은 음 높이가 조금 높고 마지막 한 음의 높이는 조금 낮습니다. 오뉴월 한철 짝을 찾는 검은등뻐꾸기의 소리가 영락없이 홀딱벗고, 홀딱벗고. 그래서 ‘홀딱벗고 새’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네 음절의 많고 많은 말이 있을진대 어찌 모두들 그리 들었는지 재밌는 일입니다.


 


성인용품점을 하는 아무개씨네 가게에 도둑이 들었답니다. 성인용품점을 한다는 것이 굳이 비밀일 것까진 없었지만 또 굳이 누구에게 알릴 일도 아니었다는군요. 그래서 도둑맞았단 얘기를 어디 가까운 사람에게 대고 할 수 없어 며칠 앓다가 분실신고는 해야지 싶어 인근 파출소에 갔답니다.


무엇을 잃어버렸는지, 도둑 든 시간이 대충 언제쯤인지, 값은 얼마나 나가는지, 어떻게 생겼고, 어디에 쓰는 물건인지, 누가 주로 물건을 사 가는지…


생각보다 다양한 물건에 가격도 만만치 않다는 소리를 들은 것도 같습니다만, 아무개씨,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몰라 난감했다는군요. 생소한 품목들 하나하나 받아 적는 경찰관도 씨익-, 잃어버린 물건들 낱낱이 헤야려야 하는 아무개씨도 멋쩍어 씨익-.


전라도 사람도 아닌데 거시기, 거시기가 수차례 설명을 대신하곤 했다는군요.


 


거리에서 성인용품점을 흔히 봅니다. 가게 안이 들여다보이지 않게 되어 있지요. 그 앞을 지날 때면 제가 갓 결혼한 새댁이었을 때가 가끔 생각납니다. 네덜란드에 여행 다녀온 친구가 사 온 ‘성인용품 거시기’를 보여준 적이 있었지요. 지금이사 자연스럽게 성인용품점이 여기저기 있지만 그때 당시엔 생각도 못해 봤던 것이었습니다. 생긴 것이 영락없이 남성의 ‘그것’ 같은 데다가 내장된 건전지를 작동시키니까 꿈틀꿈틀, 진동을 시작하는데 기겁 반 부끄러움 반에 한참 뒤에야 터져 나온 웃음으로 배꼽 잡았던 때가 있었지요.


  


홀딱벗고 새는, 아니 검은등뻐꾸기는 산사의 스님들이 공부에 집중하는 새벽녘과 저녁에 주로 우는데요. 공부는 않고 게으름만 피우다 세상 떠난 스님이 환생한 새란 말도 있습니다. 홀딱벗고 마음을 가다듬어라. 망상도 지워 버리고, 욕심도 성냄도 어리석음도 홀딱벗고. 나처럼 되지 말고, 정신차려라. 그렇게 듣는다는군요. 알몸으로 왔다가 알몸으로 가는 것이 인생이라고. 결국 빈손으로 가는 인생이라고. 이 세상 똑바로 살라는 경고의 소리로 듣기도 한다는군요.


다투고, 며칠 말 않고 지내던 아내에게 미안한 맘으로, 처지고 있는 아내의 가슴께는 건드려 보지도 않고, 윗도리 벗지도 않은 채 아내에게 다가가려니, 하려거든 하는 것처럼 하라는 듯, 처음처럼, 마지막일 것처럼, 맨몸의 첫날밤처럼, 그렇게 하라는 듯 홀딱벗고, 홀딱벗고 초록빛깔로 5월 봄밤에 울어 대더라고 복효근 시인이 노래한 <검은등뻐꾸기의 전언>이 생각납니다.


 


검은등뻐꾸기의 홀딱벗고, 소리를 따라해 보면서 씨익, 웃어봅니다. 아무개씨의 잃어버린 물건, 왠지 찾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 필자 소개


 




신정민(시인)


1961년 전북 전주에서 태어났으며, 2003 <부산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 『꽃들이 딸꾹』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5421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4937
2460 통찰력 바람의종 2009.03.14 7664
2459 매뉴얼 風文 2015.01.14 7662
2458 전환점 윤안젤로 2013.05.13 7661
2457 백만장자로 태어나 거지로 죽다 바람의종 2008.10.31 7660
2456 「비명 소리」(시인 길상호) 바람의종 2009.07.15 7660
2455 3,4 킬로미터 활주로 바람의종 2012.11.21 7650
2454 눈은 마음의 창 바람의종 2007.09.06 7641
2453 아프리카 두더지 風文 2014.12.16 7638
2452 과식 바람의종 2013.01.21 7625
2451 「니들이 고생이 많다」(소설가 김이은) 바람의종 2009.07.29 7624
2450 '나는 틀림없이 해낼 수 있다' 바람의종 2012.07.27 7624
2449 눈을 감고 본다 風文 2015.03.11 7622
2448 뽕나무 風文 2015.07.08 7618
2447 봄은 먼데서 옵니다. - 도종환 (138) 바람의종 2009.03.08 7617
2446 당신이 지금 서른 살이라면 風文 2014.11.25 7608
2445 이해와 공감 風文 2015.07.30 7601
2444 인간성 바람의종 2012.02.16 7596
2443 할 일의 발견 風文 2014.12.03 7595
2442 일본인의 몸짓, '허리들기' 바람의종 2011.08.25 7592
2441 잠들기 전에 바람의종 2009.04.25 7589
2440 "너. 정말 힘들었구나..." 바람의종 2012.02.16 7589
2439 '살림'의 지혜! 윤영환 2013.03.13 7588
2438 살이 찌는 이유 風文 2014.12.08 7588
2437 새해 소망 風文 2014.12.15 7580
2436 '내 일'을 하라 바람의종 2012.08.14 75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