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625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비명 소리」(시인 길상호)   2009년 7월 15일





 





대청호 가까이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분이 있어 함께 꽃차의 재료로 쓸 인동꽃을 따기 위해 나선 적이 있다. 깨끗한 꽃을 찾아 우리는 숲 깊숙이 들어갔다. 처음 들어가 보는 길이었는데 운이 좋았는지 선택한 길은 꽃들이 많은 깊은 숲 속으로 우리를 인도했다. 중간중간 차를 세워놓고 꽃을 따는 재미도 좋았지만 도시에서 벗어나 맑은 공기를 만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즐거운 아침이었다.


 


한참을 들어가니 시멘트 포장이 끝나고 울퉁불퉁 좁은 비포장길이 이어졌다. 말을 탄 기분으로 그렇게 또 한참을 들어갔는데, 그 깊은 숲 안에 예상치도 못한 넓은 공터가 보였다. 커다란 메타세쿼이아가 일렬로 늘어서 있는 게 커다란 건물터 같기도 하고, 아무튼 그곳에 주차를 하고 차에서 내렸을 때 또 한번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 공터를 가득 채우고 있는 건 싱싱하고 깨끗한 질경이들이었다. 꿀과 젖이 흐르는 공간에 닿은 사람처럼 탄성을 지르면서 우리는 질경이를 뜯기 시작했다. 얼마 되지 않아 준비해 간 비닐봉지들은 질경이로 가득 찼다. 그리고 공터 옆으로 내리막길이 있어 내려가 보니 거기는 더 환상이었다. 그곳은 대청호 물가로 주변에는 메꽃과 이름을 알 수 없는 야생화들이 끝없이 이어져 있었다. 나는 짐들을 한쪽에 풀어 놓고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그렇게 호숫가에서 거닐다 카페 열 시간이 되어 짐도 많으니까 사장님이 차를 가져오기로 하고 나는 그곳에 남아 기다리고 있었다. 그때 멀리서 누군가 차 문을 닫고 내리는 소리가 들렸다. 이런 곳까지 찾아오는 사람이 또 있구나, 생각하면서 호숫가에 앉아 있는데 조금 지나자 여자의 비명 소리, 차 있는 곳에 사장님이 도착할 만큼의 시간이었다. 처음에는 잘못 들었겠지 했는데 그 소리는 조금씩 더 날카롭게, 선명하게 들려 왔다. 좋지 않은 생각이 순간 뇌리를 스쳐갔다. 방금 전에 들었던 차 문 닫히는 소리와, 비명이 들리기까지의 시간 차와, 아침 시간 이 깊은 곳에 누가 들어올 것인가 하는 여러 정황이 끔찍한 생각을 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나는 공터를 향해 뛰기 시작했다. 그 순간에도 별 생각이 다 교차했다. 이러다 나까지 당하면 어쩌나, 차라리 경찰에 신고를 할까, 그래도 나를 공터 쪽으로 뛰게 하는 건 손에 쥐고 있던 과도였다. 질경이를 뜯을 때 사용했던 과도가 나의 비겁한 마음을 간신히 꺾고 있었다.


 


공터에 거의 닿았을 때 차를 보니 다행히 그 안에는 사장님이 타고 있었다. 하얗게 질린 얼굴의 나를 보면서 아무렇지도 않게 시동을 거는 것이었다.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봉고차가 세워져 있었는데 인상이 좋지 않은 사내 둘이서 뭔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그때도 비명 소리는 계속 들려 왔다. 공터 위쪽 숲에서 들리는 소리였다. 내가 차에 올라타 빨리 여기서 벗어나자고, 이 비명 소리 안 들리느냐고, 저 사람들 수상하다고 다그치자 사장님도 두려운 생각이 들었는지 서둘러 차를 몰았다. 호숫가에 두고 온 질경이는 생각할 겨를도 없었다. 가게까지 돌아오는 내내 둘은 봉고차 뒤에 서 있던 사내들의 인상착의를 이야기하며 소름이 돋아 있었다.


 


며칠이 지나 안개가 짙은 아침, 사진을 찍기 위에 나는 카페에서 가까운 호숫가로 내려가 보았다. 멀리 그 공터가 있는 숲의 입구가 보이는 곳이었는데, 마을과 가까워 그리 두려운 생각은 들지 않았다. 나는 그때의 기억을 지우고 안개에 갇힌 호수의 모습에 점점 빠져들었다. 그런데 이게 웬 날벼락! 그때 들려 오던 비명 소리가 멀리서부터 다시 들리기 시작했다. 그리고는 점점 가깝게 다가오는 것이 아닌가. 나는 발길을 돌려 마을을 향해 걸음을 빨리했다. 그런데 그 소리가 이상했다. 이제는 머리 위 하늘에서 들려 오는 것이었다. 나는 고개를 들어 하늘을 바라보았다. 안개 사이로 새 한 마리가 큰 날개를 펴고 유유히 날고 있었다. 돌아오는 길 동네 어르신께 여쭤 보니 그 비명의 주인공은 왜가리라 하였다. 긴 목을 다 긁고 나와서 그런지 꼭 사람 비명처럼 들린다고. 아, 두고 온 한 무더기의 질경이가 너무 아쉬워지는 순간이었다.  






















■ 필자 소개


 




길상호(시인)


1973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났다. 한남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으며 2001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 『오동나무 안에 잠들다』『모르는 척』이 있다. 현대시 동인상과 이육사문학상 신인상, 천상병 시상을 수상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449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804
2735 내 사랑, 안녕! 風文 2014.08.11 8882
2734 문제아 風文 2014.12.08 8882
2733 그대는 황제! 風文 2014.12.28 8868
2732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가 없다 윤안젤로 2013.03.23 8856
2731 테리, 아름다운 마라토너 바람의종 2008.02.22 8855
2730 고백할게 바람의종 2008.03.14 8853
2729 하늘의 눈으로 보면 바람의종 2012.05.22 8848
2728 다리가 없는 새가 살았다고 한다. 바람의종 2008.04.05 8847
2727 같이 커피를 마시고 싶은 사람 바람의 소리 2007.08.31 8836
2726 가장 큰 재산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29 8829
2725 '애무 호르몬' 바람의종 2011.09.29 8822
2724 「첫날밤인데 우리 손잡고 잡시다」(시인 유안진) 바람의종 2009.05.17 8810
2723 자본주의 사회에서 더 행복해지는 법 바람의종 2008.04.02 8806
2722 겁먹지 말아라 風文 2014.12.04 8801
2721 성숙한 지혜 바람의종 2012.12.10 8795
2720 중국 비즈니스 성패의 절대요건 風文 2014.11.24 8793
2719 「밥 먹고 바다 보면 되지」(시인 권현형) 바람의종 2009.06.25 8775
2718 결혼 서약 바람의종 2012.10.15 8766
2717 사랑에 목마른 사람일수록 바람의종 2012.06.11 8741
2716 깨기 위한 금기, 긍정을 위한 부정 바람의종 2008.02.15 8733
2715 행복한 사람 - 도종환 (50) 바람의종 2008.08.01 8731
2714 행복한 농사꾼을 바라보며 바람의종 2008.04.22 8724
2713 함께 산다는 것 風文 2014.12.24 8723
2712 사람은 떠나도 사랑은 남는다 바람의종 2012.11.01 8722
2711 추억의 기차역 바람의종 2012.10.15 87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