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682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비명 소리」(시인 길상호)   2009년 7월 15일





 





대청호 가까이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분이 있어 함께 꽃차의 재료로 쓸 인동꽃을 따기 위해 나선 적이 있다. 깨끗한 꽃을 찾아 우리는 숲 깊숙이 들어갔다. 처음 들어가 보는 길이었는데 운이 좋았는지 선택한 길은 꽃들이 많은 깊은 숲 속으로 우리를 인도했다. 중간중간 차를 세워놓고 꽃을 따는 재미도 좋았지만 도시에서 벗어나 맑은 공기를 만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즐거운 아침이었다.


 


한참을 들어가니 시멘트 포장이 끝나고 울퉁불퉁 좁은 비포장길이 이어졌다. 말을 탄 기분으로 그렇게 또 한참을 들어갔는데, 그 깊은 숲 안에 예상치도 못한 넓은 공터가 보였다. 커다란 메타세쿼이아가 일렬로 늘어서 있는 게 커다란 건물터 같기도 하고, 아무튼 그곳에 주차를 하고 차에서 내렸을 때 또 한번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 공터를 가득 채우고 있는 건 싱싱하고 깨끗한 질경이들이었다. 꿀과 젖이 흐르는 공간에 닿은 사람처럼 탄성을 지르면서 우리는 질경이를 뜯기 시작했다. 얼마 되지 않아 준비해 간 비닐봉지들은 질경이로 가득 찼다. 그리고 공터 옆으로 내리막길이 있어 내려가 보니 거기는 더 환상이었다. 그곳은 대청호 물가로 주변에는 메꽃과 이름을 알 수 없는 야생화들이 끝없이 이어져 있었다. 나는 짐들을 한쪽에 풀어 놓고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그렇게 호숫가에서 거닐다 카페 열 시간이 되어 짐도 많으니까 사장님이 차를 가져오기로 하고 나는 그곳에 남아 기다리고 있었다. 그때 멀리서 누군가 차 문을 닫고 내리는 소리가 들렸다. 이런 곳까지 찾아오는 사람이 또 있구나, 생각하면서 호숫가에 앉아 있는데 조금 지나자 여자의 비명 소리, 차 있는 곳에 사장님이 도착할 만큼의 시간이었다. 처음에는 잘못 들었겠지 했는데 그 소리는 조금씩 더 날카롭게, 선명하게 들려 왔다. 좋지 않은 생각이 순간 뇌리를 스쳐갔다. 방금 전에 들었던 차 문 닫히는 소리와, 비명이 들리기까지의 시간 차와, 아침 시간 이 깊은 곳에 누가 들어올 것인가 하는 여러 정황이 끔찍한 생각을 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나는 공터를 향해 뛰기 시작했다. 그 순간에도 별 생각이 다 교차했다. 이러다 나까지 당하면 어쩌나, 차라리 경찰에 신고를 할까, 그래도 나를 공터 쪽으로 뛰게 하는 건 손에 쥐고 있던 과도였다. 질경이를 뜯을 때 사용했던 과도가 나의 비겁한 마음을 간신히 꺾고 있었다.


 


공터에 거의 닿았을 때 차를 보니 다행히 그 안에는 사장님이 타고 있었다. 하얗게 질린 얼굴의 나를 보면서 아무렇지도 않게 시동을 거는 것이었다.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봉고차가 세워져 있었는데 인상이 좋지 않은 사내 둘이서 뭔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그때도 비명 소리는 계속 들려 왔다. 공터 위쪽 숲에서 들리는 소리였다. 내가 차에 올라타 빨리 여기서 벗어나자고, 이 비명 소리 안 들리느냐고, 저 사람들 수상하다고 다그치자 사장님도 두려운 생각이 들었는지 서둘러 차를 몰았다. 호숫가에 두고 온 질경이는 생각할 겨를도 없었다. 가게까지 돌아오는 내내 둘은 봉고차 뒤에 서 있던 사내들의 인상착의를 이야기하며 소름이 돋아 있었다.


 


며칠이 지나 안개가 짙은 아침, 사진을 찍기 위에 나는 카페에서 가까운 호숫가로 내려가 보았다. 멀리 그 공터가 있는 숲의 입구가 보이는 곳이었는데, 마을과 가까워 그리 두려운 생각은 들지 않았다. 나는 그때의 기억을 지우고 안개에 갇힌 호수의 모습에 점점 빠져들었다. 그런데 이게 웬 날벼락! 그때 들려 오던 비명 소리가 멀리서부터 다시 들리기 시작했다. 그리고는 점점 가깝게 다가오는 것이 아닌가. 나는 발길을 돌려 마을을 향해 걸음을 빨리했다. 그런데 그 소리가 이상했다. 이제는 머리 위 하늘에서 들려 오는 것이었다. 나는 고개를 들어 하늘을 바라보았다. 안개 사이로 새 한 마리가 큰 날개를 펴고 유유히 날고 있었다. 돌아오는 길 동네 어르신께 여쭤 보니 그 비명의 주인공은 왜가리라 하였다. 긴 목을 다 긁고 나와서 그런지 꼭 사람 비명처럼 들린다고. 아, 두고 온 한 무더기의 질경이가 너무 아쉬워지는 순간이었다.  






















■ 필자 소개


 




길상호(시인)


1973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났다. 한남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으며 2001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 『오동나무 안에 잠들다』『모르는 척』이 있다. 현대시 동인상과 이육사문학상 신인상, 천상병 시상을 수상했다.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6776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8032 

    「광진이 형」(시인 김두안)

  4.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6333 

    「그 모자(母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5. No Image 20May
    by 바람의종
    2009/05/20 by 바람의종
    Views 8378 

    「그 부자(父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6.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10371 

    「그녀 생애 단 한 번」(소설가 정미경)

  7. No Image 12May
    by 바람의종
    2009/05/12 by 바람의종
    Views 7963 

    「긴장되고 웃음이 있고 재미있으며 좀 가려운」(소설가 성석제)

  8. No Image 10Jul
    by 바람의종
    2009/07/10 by 바람의종
    Views 7992 

    「내 말이 그렇게 어려운가요」(시인 조용미)

  9.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8612 

    「내 이름은 이기분」(소설가 김종광)

  10. No Image 12Jun
    by 바람의종
    2009/06/12 by 바람의종
    Views 5425 

    「누구였을까」(소설가 한창훈)

  11. No Image 29Jul
    by 바람의종
    2009/07/29 by 바람의종
    Views 7748 

    「니들이 고생이 많다」(소설가 김이은)

  12.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6730 

    「똥개의 노래」(소설가 김종광)

  13. No Image 09Jul
    by 바람의종
    2009/07/09 by 바람의종
    Views 7065 

    「만두 이야기_1」(시인 최치언)

  14. No Image 10Jul
    by 바람의종
    2009/07/10 by 바람의종
    Views 6676 

    「만두 이야기_2」(시인 최치언)

  15. No Image 23Jun
    by 바람의종
    2009/06/23 by 바람의종
    Views 6288 

    「미소를 600개나」(시인 천양희)

  16. No Image 15May
    by 바람의종
    2009/05/15 by 바람의종
    Views 9550 

    「바람에 날리는 남자의 마음」(소설가 성석제)

  17. No Image 25Jun
    by 바람의종
    2009/06/25 by 바람의종
    Views 8853 

    「밥 먹고 바다 보면 되지」(시인 권현형)

  18. No Image 10Jun
    by 바람의종
    2009/06/10 by 바람의종
    Views 6759 

    「부모님께 큰절 하고」(소설가 정미경)

  19. No Image 15Jul
    by 바람의종
    2009/07/15 by 바람의종
    Views 7682 

    「비명 소리」(시인 길상호)

  20. No Image 11Aug
    by 바람의종
    2009/08/11 by 바람의종
    Views 8037 

    「사랑은 아무나 하나」(시인 이상섭)

  21. No Image 17Jul
    by 바람의종
    2009/07/17 by 바람의종
    Views 9306 

    「성인용품점 도둑사건」(시인 신정민)

  22. No Image 08Jul
    by 바람의종
    2009/07/08 by 바람의종
    Views 7722 

    「세상에 없는 범죄학 강의」(시인 최치언)

  23.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8108 

    「스페인 유모어」(시인 민용태)

  24. No Image 01Aug
    by 바람의종
    2009/08/01 by 바람의종
    Views 6399 

    「신부(神父)님의 뒷담화」(시인 유종인)

  25. No Image 14Jul
    by 바람의종
    2009/07/14 by 바람의종
    Views 8394 

    「쌍둥이로 사는 일」(시인 길상호)

  26.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09/07/06 by 바람의종
    Views 7895 

    「엉뚱스러운 문학교실」(시인 김종태)

  27. No Image 26Jun
    by 바람의종
    2009/06/26 by 바람의종
    Views 7550 

    「연변 처녀」(소설가 김도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22 Next
/ 122